산업 바이오

청소년 흡연, 담배 피우는 친구 있으면 18배 급증

서울대 간호대, 청소년 7만여명 분석

교사, 교직원 흡연도 학생에 영향

담배 피우는 친구가 있는 청소년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흡연 확률이 무려 18배나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권석현 위스콘신대 간호대학 교수와 정수용 서울대 간호대학 연구원은 2014년 시행된 ‘제10차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조사’에 참여한 청소년 7만2,060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7일 밝혔다.


연구팀은 청소년의 흡연실태를 최근 30일 동안 담배를 한 개비 이상 피운 ‘현재 흡연’과 일생에 단 한 번이라도 흡연을 해본 경험이 있는 ‘평생 흡연’으로 구분해 분석했다.

관련기사



이를 따져보니 현재 흡연의 경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친구로 흡연하는 친구를 둔 청소년은 그렇지 않은 이들보다 담배 피울 확률이 18.17배나 높았다. 형제 자매는 2.25배, 어머니는 2.09배였다. 아버지는 1.13배로 예상외로 영향이 적었다.

평생 흡연 역시 친구가 흡연할 때 5.79배 더 높아졌으며 형제자매 2.33배, 어머니 2.05배, 아버지 1.13배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학교 교사와 교직원의 흡연을 목격한 청소년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현재 흡연이 1.6배, 평생 흡연은 1.39배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선생님의 영향이 적지 않은 셈이다.

정수용 연구원은 “청소년기는 동료들의 수용과 인정을 바라는 시기이기 때문에 친구의 행동이나 가치를 강하게 동조하는 특성이 있다”며 “흡연하는 청소년을 발견하면 그 친구들도 금연 중재 대상에 반드시 포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청소년 흡연 예방 및 금연을 위해 적극적인 교내 대책을 시행해야 할 필요성도 확인됐다”며 “예를 들면 교내 모든 지역을 100% 금연 구역으로 지정하거나 금연정책 대상에 학생뿐 아니라 교직원들을 모두 포함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영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