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한국인 유전자 분석해보니... 남성은 혈압 경고등, 여성은 탈모 위험

테라젠이텍스, 유전자 검사 대중화(DTC) 100일 맞아 통계 분석 결과 공개

공통 위험 유전변이 보유 순위 피부탄력>비타민C농도>카페인 대사

불특정 한국인 100명의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남자는 혈압 관리에, 여자는 탈모 예방에 좀 더 신경을 써야 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피부 탄력’은 남녀를 가리지 않고 나타난 유전적 취약점이었다.

개인 헬스·뷰티 유전자 분석서비스 ‘진스타일’을 판매하고 있는 테라젠이텍스 바이오연구소는 상품 출시 100일을 맞아 최초 고객 100명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7일 밝혔다.


‘진스타일’은 개인이 의료기관을 통하지 않고도 받을 수 있는 손쉽고 간편한 DTC(Direct to Consumer)-유전자 검사 상품으로 지난 6월 30일 국내 최초로 출시됐다. 고객은 타액 등을 우편으로 보내 체질량지수,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혈당·혈악, 카페인대사, 피부노화·탄력 등 12개 항목에 관한 유전적 변이·위험 여부를 예측할 수 있다. 각 항목의 발생 위험도는 주의, 보통, 양호 3단계로 구분돼 고객에 전달된다.

테라젠이텍스의 분석 결과 12개 항목 중 가장 많은 검사 고객에게 ‘주의’ 통보가 내려진 것은 ‘피부탄력(55%)’이었다. MMPI 유전자의 위험 유전변이가 2개 있을 경우 피부의 진피층을 지지하는 콜라겐 섬유의 분해가 촉진되는데 피부 탄력이 빨리 저하되는데 이런 특징을 가진 고객이 100명 중 55명에 달했다는 의미다.


다음으로 가장 높은 주의 빈도를 보인 것은 ‘비타민C농도(53%)’와 ‘카페인 대사(38%)’였다. 신장에서 비타민C를 재흡수하는 유전자의 위험 유전변이를 보유한 경우, 일반인에 비해 비타민C가 소변을 통해 더욱 빨리 빠져나가기 때문에 비타민C의 효능이 반감된다. 카페인 대사 역시 카페인 대사 속도를 촉진하는 유전변이를 보유하기 때문에 일반인에 비해 카페인을 통한 각성효과가 더욱 빠르게 줄어든다. 평소에 비타민C나 카페인을 섭취해도 큰 변화나 효과를 느끼지 못했다면 이러한 변이 유전자를 보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관련기사



성별에 따라 ‘주의’ 결과에 차이가 보이는 항목들도 있었는데 남성의 경우 33%가 LDL 콜레스테롤의 주의 결과를 받은 반면 여성 고객은 15%에 불과했다. 혈압(남성 29%, 여성 8%)과 색소침착(남성 10%, 여성 3%) 역시 남성의 발생 위험도가 특히 높았다. 반대로 탈모를 유발하는 변이 유전자 보유 비중은 여성 18%, 남성 5%로 의외로 여성 고객에게 더욱 높은 비중을 보였다.

한편 진스타일 검사를 받은 고객 100명 중 65명이 여성으로 남성보다 약 1.9배 많았다. 연령대별 고객 비중은 △30대 27% △50대 25% △40대 20% △60대 15% △20대 13% 순이었다. 황태순 테라젠이텍스 바이오연구소 사장은 “앞으로 더욱 많은 표본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결과 모니터링과 분석을 실시해 한국인의 건강과 미용 관리에 일조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진스타일은 유전자 검사 상담 약국 인증을 받은 전국 약국에서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으며, 헬로진닷컴 홈페이지(www.hellogene.com)를 통해 온라인 주문도 가능하다.

제공=테라젠이텍스제공=테라젠이텍스




김경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