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北, 10일 전후 추가 핵실험 가능성

靑 "동향 예의주시" 비상체제로

북한이 노동당 창건일(10월10일)을 전후해 6차 핵실험이나 중거리탄도미사일(IRBM) 발사 등 군사적 도발을 감행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청와대가 비상대응체제에 들어갔다. 군과 외교·안보·통일 관련 부처도 비상대기태세에 돌입했다.

7일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북한의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면서 “북한 위협 대응을 최우선 의제로 삼아 긴장감을 갖고 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달 9일 북한의 5차 핵실험 직후 준(準)국가비상체제로 근무할 것을 국가안전보장회의(NSC)와 청와대·군 등에 주문한 바 있으며 최근 북한 노동당 창건일이 다가오자 비상태세를 한 수위 높이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군 관계자는 “북한이 노동당 창건일 등 내부 행사와 이달 중순 미국에서 열리는 한미안보협의회(SCM) 등 외적 환경 등을 겨냥해 전략적 도발을 할 가능성을 매우 높게 판단하고 있다”면서 “7일부터 증강된 비상대기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한미 양국 군과 정보 당국은 북한이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의 2번·3번 갱도에서 언제든 6차 핵실험을 할 수 있다고 파악하고 있다. 미국의 북한 전문매체 38노스도 지난 1일 촬영된 상업용 위성사진을 분석한 결과 풍계리 핵실험장의 북쪽 갱도 입구 부근에서 트럭으로 추정되는 물체와 건축자재나 상자로 보이는 물체들이 새로 발견됐다고 전했다. 통일부 측도 “북한은 언제든지 추가 핵실험을 할 수 있는 준비가 돼 있는 만큼 모든 대비태세를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군과 당국은 북한이 노동·무수단 등 IRBM을 발사할 가능성에 대비해 노동미사일 기지와 무수단미사일이 배치된 강원도 원산 지역 등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조태용 국가안보실 1차장 겸 NSC 사무처장이 북한의 추가 도발 가능성과 대응책 등을 협의하기 위해 4일 미국 워싱턴을 방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에서 북한 선제타격론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이뤄진 방문이어서 더욱 주목된다.

맹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