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박홍근 "미래부 고시 개정에 사업자 망사용료 크게 올라"

중소사업자, 스타트업의 망이용료 부담 크게 늘어

박홍근 "시장 여파 검토하지 않은 졸속 고시 개정 문제"

인터넷 사업자들이 통신사에 내는 망 사용료가 크게 올라 중소사업자와 스타트업의 고통이 크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훤회 소속 박홍근(사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미래창조과학부의 개정 고시가 시행되면서 포털·동영상 업체 등이 내는 인터넷 망 이용료가 60∼70%가 인상돼 업계가 큰 타격을 받고 있다고 7일 주장했다.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훤회 소속 박홍근 더불어민주당 의원 /연합뉴스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훤회 소속 박홍근 더불어민주당 의원 /연합뉴스


미래부는 2014년 11월 통신망 이용대가인 접속통신료를 용량단위로 정산하던 방식(정액제)에서 트래픽사용량 기반 정산방식(종량제)으로 전환하고, 통신 3사간 현행 무정산 방식을 상호정산 방식으로 변경하는 내용의 ‘전기통신설비의 상호접속기준’ 고시 개정안을 확정고시하고, 새 접속통신요율을 결정한 바 있다. 이를 테면 인터넷 회선 용량에 따라 요금을 책정하던 제도를 실제 사용하는 데이터양(트래픽)에 따라 요금이 나오는 방식으로 전환한 것이다.


박 의원실은 “미래부가 통신사의 입장만 반영하고 시장 여파는 제대로 검토하지 않고 졸속으로 고시를 개정해 해법이 시급하다”며 “통신3사가 망 이용료로 얻은 이익은 작년 416억원이었는데 올해 1∼7월 이익만 벌써 401억원에 달해 엄청난 수익 증대가 나타났다”고 강조했다. 통신사의 이익은 늘었지만 인터넷 서비스를 운영하는 중소사업자와 스타트업은 사업 포기를 고민하는 상황이 됐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미래부 관계자는 “과거 제도에서는 사용량과 무관하게 각 사업자 협상력에 따라 요금이 각양각색인 문제가 컸고 통신망에 대한 투자비용을 회수하기 어렵다는 주장도 일리가 있었다”며 “비용 변화의 영향을 받은 기업 사례를 분석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정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