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전경련 해체론 대두’…설립 55년만에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나

‘전경련 해체론 대두’…설립 55년만에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나‘전경련 해체론 대두’…설립 55년만에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나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의 해체에 대한 논의가 여야 정치권에서 대두됐다.


6일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는 싱크탱크 ‘정책공간 국민성장’(가칭) 기조연설에서 “정치 권력 모금 창구 역할을 한 전경련의 최근 행위는 반칙과 특권의 상징과도 같다”고 발언했는데, 이에 대해 문 전 대표 측은 “사실상 ‘전경련 해체’ 요구로 보면 된다”고 밝혔다.

이날 김무성 전 새누리당 대표도 “전경련은 국가 경제 성장기에 공을 세웠지만, 지금은 역사적 소임을 다해 존재의 이유가 없다”며 전경련 해체론에 대한 불씨를 틔웠다.


또 더민주 김종인 전 대표도 한 라디오 인터뷰에서 “전경련 회원들의 의사에 따라서 해체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했고, 국민의당 김성식 정책위의장까지 “전경련은 그 기능을 상공회의소와 경총(경영자총협회)에 맡기고 이제는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져야 할 때”라고 말해 여야 정치인 할 것 없이 전경련 해체론을 부각하는 모양새다.

관련기사



특히 전날 국정감사장에서 ‘전경련 해체’를 직접 주장했던 새누리당 유승민 의원은 “전경련이 진정한 시장경제 건설에 동참하는 의미에서 연구 기능이라든지, 중소기업과 공존을 위한 쪽으로 혁신하는 것이 좋다”고 밝혀 여권의 경우도 다른 의견이 아님을 내비쳤다.

전경련해체론은 재계에까지 확산되고 있다. 삼성·LG 등 국내 대표 기업에서조차 “전경련이 기업이 아니라 정부 입장만 대변하는 기구로 전락했다”며 ‘전경련 무용론‘이 등장한 것이다.

한편 전경련은 1961년 대기업을 중심으로 만들어진 민간종합경제단체로, 초대 회장은 삼성의 고 이병철 회장이 맡은 바 있다.

[사진 = 연합뉴스 TV화면 캡처]

김경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