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정책

[공매도 폭탄...개미엔 헝거게임] '깜깜이' 공매도 공시제

3일 뒤 주체 늑장 공개

개인들엔 '있으나마나'

“공매도 물량을 실시간으로 알면 개미들도 손실을 최소화했겠죠.”

국내 운용사 관계자는 “현재 공시제는 장이 끝나야 하루 공매도 물량을 알려주니 투자 예측 도구로 활용하기 어렵다”고 퉁명스럽게 말했다.

한미약품(128940) 사태를 계기로 공매도 공시제 개선 목소리가 거세다. 시장 관계자들은 현행 공시제로는 ‘주가하락 신호, 투기 매매 방지’라는 공매도의 순기능이 발휘되기 어렵다고 보고 있다.


대부분 공매도는 정보가 많은 외국인·기관의 전유물로 공매도 주문이 많으면 기업 주가가 하락할 것이라는 신호가 된다. 하지만 개인투자자들은 공매도 정보에서 철저히 소외된다. 지난달 30일 장 시작 후 한미약품이 독일의 한 제약사와 계약을 해지했다는 악재를 전한 28분간 외국인·기관투자가는 이날 공매도 물량의 절반을 쏟아냈다. 이에 대해 거래소 관계자는 “시간대별 공시는 이를 악용한 또 다른 추종 매매를 낳을 수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종목별 공매도 물량은 그나마 시장 마감 후 알 수 있지만 공매도 주체는 3일 뒤에서야 늑장 공시된다는 것도 논란거리다. 불공정 거래와 결합한 공매도 공세에 개미들이 속수무책일 수밖에 없다.

전체 거래량 가운데 0.5% 이상의 대량 공매도만 공개되는 것과 공매도를 대행하는 증권사 이름만 공개될 뿐 실체 주체가 베일에 싸여 있다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이런 탓에 내부정보를 입수한 공매도 세력의 불공정거래 의혹은 문제가 터진 뒤에나 당국의 조사로 파악할 수 있다. 신현한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당국이 투기성 매매에 발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실제 주체가 감독기관에 공매도를 보고하는 수준으로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서지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