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눈에 기생충이"…국내 사병 감염사례 세계적 의학저널에 소개

국군수도병원은 병사에게 발견된 기생충의 한 종류인 ‘동양안충’(Thelazia callipaeda)을 성공적으로 제거했다고 11일 밝혔다./뉴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신 발췌=연합뉴스국군수도병원은 병사에게 발견된 기생충의 한 종류인 ‘동양안충’(Thelazia callipaeda)을 성공적으로 제거했다고 11일 밝혔다./뉴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신 발췌=연합뉴스


국내 의료진이 한 사병의 눈에 생긴 희귀한 기생충을 성공적으로 치료한 사례를 학계에 발표에 주목을 받고 있다.

치료 방법 자체가 어렵지는 않지만, 눈에 이 기생충이 생기는 경우가 드물어 세계 최고 의학학술지 ‘뉴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슨(NEJM,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최근호에 치료과정이 동영상과 함께 소개됐다.

국군수도병원은 경기도 남양주시 소재 군부대에서 복무하던 상병 A(21)씨에게 발견된 ‘동양안충(Thelazia callipaeda)’을 최정훈 안과 전문의와 군의관 허경민 대위가 성공적으로 제거했다고 11일 밝혔다.


학술지에 따르면, A씨는 지난해 9월 2주간 눈의 가려움증을 호소해 병원을 찾았다. 당시 A씨는 “눈에 벌레가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담당 의료진은 당시 기생충이 병사의 눈과 눈꺼풀 사이에 기생해 거울로 보였을 정도라고 전했다. 의료진은 A씨의 눈을 식염수로 세척하고 세 마리의 기생충을 성공적으로 제거했다. A씨는 기생충 제거 후 특이증상을 보이지 않았고 현재 정상적인 생활을 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관련기사



이후 의료진이 서울대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에 의뢰한 결과, 이 기생충은 ‘동양안충’으로 확인됐다. 동양안충은 주로 개, 고양이, 사람을 포함한 포유류의 눈물샘에 기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A씨에게서 나온 동양안충은 희고 가는 실 형태로 10~12mm의 길이에 0.16~0.18mm의 굵기였다.

의료진은 “동양안충은 파리와 같은 해충을 통해 전파되므로 위생관리에 신경을 쓰고 해충이 눈 주위에 앉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단, 우리나라에서도 3~4년에 1번 정도 환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치료법이 어렵지 않으므로 너무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고 덧붙였다.

허경민 대위는 “기생충이 사람과 사람 사이 쉽게 전파되는 게 아니라서 처음 발생하는 지역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아 동양안충은 주로 동양인에게 발생한다. 서양에서는 생소한 기생충이고, 사진과 동영상이 잘 찍혀 교육적 가치를 높게 평가해 관심을 보이는 것 같다”고 말했다.

/정승희인턴기자 jsh0408@sedaily.com

정승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