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서울경제TV] 제조업 취업자 석 달째 줄고 청년실업률은 역대 최고

9월 실업률 3.6%로 11년 만에 최고

취업자 증가 규모 26만7,000명에 그쳐

조선·해운업 구조조정 영향이 본격화하면서 지난달 취업자 증가 폭이 줄었고, 전체 실업률은 같은 달 기준으로 11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치솟았다.

제조업 취업자 수는 3개월째 감소세가 이어졌으며 청년실업률은 동월기준 역대 최고치를 나타냈다.


통계청이 12일 발표한 ‘9월 고용동향’을 보면 9월 취업자 수는 2,653만1,000천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26만7,000명 늘었다. 취업자 증가 폭은 지난 8월 30만명대로 올라섰지만 작년의 메르스 여파에 따른 기저효과가 사라지면서 한 달 만에 다시 20만명대로 고꾸라졌다. 조선업 경기 둔화에 수출 부진 영향이 겹치면서 제조업 부문 취업자가 7만6,000명 감소한 영향이 컸다.

제조업 취업자 수는 2012년 6월 5만1,000명 감소한 이후 지난 7월 49개월 만에 처음으로 줄어들었으며, 이후 3개월째 감소 폭을 키우고 있다.

9월 고용률은 61.0%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0.1%포인트 상승했다. 청년층 고용률은 0.8%p 오른 42.5%를 보였다. 경제협력개발기구 비교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66.4%로 0.3%p 올랐다.


실업률은 지난해 같은 달보다 0.4%p 상승한 3.6%를 기록해 2005년 9월 3.6%를 기록한 이후 같은 달 기준으로 가장 높은 수준이다.

관련기사



전체 실업자는 20대와 50대 이상을 중심으로 총 12만명 늘어났다.

청년실업률은 9.4%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5%p 올랐다. 9월 기준으로는 관련 통계가 작성된 이래 최고치다.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다른 직장을 구하는 취업 준비자와 입사시험 준비생 등 사실상 실업자를 고려한 체감실업률은 9.9%였다.

지역별 실업률은 조선·해운 분야 구조조정의 여파가 큰 울산과 경남에서 지난해 같은 달보다 각각 0.5%p, 1.1%p 상승했다.

심원보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조선업 경기가 둔화한 데다 제조업이 부진하다 보니 취업자가 계속 감소하고 있다. 올해 1∼9월 평균 취업자 증가 규모가 29만8,000명이었는데 9월은 그보다 조금 낮다”고 설명했다.

/박미라기자 lucidmira@sedaily.com

이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