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車 충돌 방지' LG기술 국제표준 채택

LTE 기반 차량 대 차량 통신

스마트카 경쟁 유리한 고지에

LG전자가 세계표준규격 개발을 주도 하고 있는 차량통신기술(V2X) 개념도. 자동차가 이동통신기술을 기반으로 다른 차량이나 보행자, 교통시설물과 정보를 나누고 자율주행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기술이다. /이미지제공=LG전자LG전자가 세계표준규격 개발을 주도 하고 있는 차량통신기술(V2X) 개념도. 자동차가 이동통신기술을 기반으로 다른 차량이나 보행자, 교통시설물과 정보를 나누고 자율주행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기술이다. /이미지제공=LG전자




자동차끼리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국산 4세대(4G) 이동통신기술이 국제 표준규격으로 채택됐다. 이로써 미래 스마트카 시장의 주도권 확보경쟁에서 우리나라가 한층 유리한 고지를 점하게 됐다.


LG전자는 자사가 개발한 ‘롱텀에볼루션(LTE) 기반 차량대 차량 통신(V2V)’기술이 글로벌 표준규격으로 공표됐다고 12일 밝혔다. 또한 내년 3월까지 차량 대 보행자간 통신(V2P), 차량 대 시설물간 통신(V2P)의 표준trian), V2I(Vehicle to Infrastructure) 표준기술도 주도적으로 완성하겠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이들 기술을 활용하면 자동차가 스스로 주변의 사물을 식별하고 그 위치 및 이동정보 등을 파악해 차량, 사람과의 충돌을 피할 수 있다. V2V와 V2P,V2I기술을 포괄해서 차량통신(V2X)기술이라고 통칭하는 데 LG전자는 4G인 LTE기반의 V2X기술을 이미 올해 3월 ‘세계이동통신표준화기술협력기구(3GPP)’에 제안해 주관사로 선정된 상태다. 아울러 LG전자는 5세대(5G) 기반의 V2X 표준 후보기술 개발에서도 주관사로 선정돼 국제 연구개발을 선도 중이다.

곽국연 LG전자 CTO부문 차세대표준연구소장 부사장은 “이번 표준규격 완성은 이동통신 기술이 자동차 분야 융복합 표준으로 확대된 의미 있는 결과”라며, “LG전자의 자동차 부품 사업 경쟁력 강화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