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피플

박기영 순천대 생물학과 교수 "연구자 스스로 과제 정하는 연구에 지원 늘려야"

기초과학 육성 '105차 오픈포럼'



“기초과학을 육성하려면 대학 연구자가 스스로 과제를 정해 수행하는 연구에 대한 지원을 늘려야 합니다.”

박기영(사진) 순천대 생물학과 교수는 12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의원회관에서 바른 과학기술사회실현을 위한 국민연합과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의원 공동 주최로 열린 ‘105차 오픈 포럼’에서 이같이 말했다. ‘기초연구의 위기, 해결책은 없는가’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은 기초과학자들의 연구 활동을 증진할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포럼 발제자로 나선 박 교수는 “우리나라의 연구개발비는 절대 규모 기준 세계 5위로 총 63조7,000억원에 달하지만 이 중 연구자 중심의 자유공모과제는 1조원 규모”라며 “이 연구과제를 따내기 위해 연구자들 모두가 노심초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박 교수에 따르면 현재 대학에서 기초연구를 진행하는 과학자의 연구환경은 열악하다. 이들은 대부분 5,000만원 이하의 연구과제를 받을 수 있는데 어렵게 과제를 따내면 우선 ‘간접비’ 명목으로 대학에 20% 정도를 내야 한다. 남은 연구비로는 학생들에게 인건비를 주고 실험실에서 쓰는 소모품도 사야 한다. 게다가 얼마 남지 않은 연구비로 유명 저널에 실릴 수 있는 논문을 써야만 다음 과제에 지원해볼 수 있다.

운 좋고 실력 있는 극소수의 연구자들은 1억원 이상의 연구과제를 따기도 하지만 이들 역시 다음 과제를 보장 받지는 못한다. 현실적으로 대학에서 수준 높은 연구를 할 수 없어 절망하는 연구자들이 점점 늘어가고 있다는 게 박 교수의 지적이다.

그는 이를 해결하려면 연구자 중심의 연구사업의 수와 관련 예산을 늘려야 한다는 견해를 밝혔다. 그는 “정부가 기획하는 ‘주문형 연구사업(top-down 방식)’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큰데 연구자가 과제를 정하는 연구사업(bottom-up 방식)에도 예산을 적절히 배분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아울러 “정부가 대학에 주는 일반 지원금을 늘려 대학이 자체적으로 연구개발 기획을 할 수 있게 하고 기업이 대학 기초연구에 적극적으로 투자하도록 세제를 개편할 필요도 있다”고 주장했다.

김민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