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통폐합위기 작은학교, 발상의 전환으로 되살린다

서울시교육청, 교동·용암·한강초 등 학생 200명 이하 8개교

'서울형 작은학교'로 선정해 학교별 특색 맞게 차별화 시도

우수교원초빙, 전문상담사 배치, 스쿨버스 운영 등도 지원

지역 공동화에 따른 학생 감소로 위기에 놓인 학교를 발상의 전환을 통해 되살리려는 실험이 시작된다. 소규모 학교의 개성과 역사를 살려 차별화해 인기 학교로 거듭나도록 지원하겠다는 것이다.

서울시교육청은 12일 전체 학생 수가 200명 이하인 소규모 학교 가운데 학교의 위치와 역사적 상징성 등을 감안해 교동·용암·한강·본동·양남·재동·개화·북한산초등학교 등 8개교를 ‘서울형 작은학교’로 선정, 내년 1학기부터 지원한다고 밝혔다.


교육청은 서울형 작은학교들에 △우수 교원 초빙 확대 △전문상담사 배치 △온종일 돌봄시스템 확대 △스쿨버스 운영 등을 지원한다. 특히 맞벌이 가구 자녀들은 거주지가 해당 학교의 학구가 아니어도 전입학이 허용된다.

학교별 특색을 살린 차별화도 이뤄진다. 122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재동초등학교는 한옥형 건물 디자인으로 학교를 재구성하고 학교역사박물관을 설치해 지역주민들에게 개방하고, 운동장이 거의 없는 한강초등학교는 온종일 돌봄체계를 도입할 계획이다. 조희연 서울시교육청 교육감은 “학생이 줄어든다고 해서 무조건 이전하거나 통폐합하기보다 새로운 도시형 소규모 학교의 모델을 만들어 확산시킬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서울형 작은학교’ 추진 학교별 차별화 포인트

학교명 특징


용암초 이중 언어교실, 남산생태학습

관련기사



재동초 한옥형 건물디자인, 학교역사박물관

북한산초 과학 등 주제별 숲속학교 야영 활동

한강초 온종일 돌봄체계, 한강물길 체험교육

교동초 전교생 전통예술 동아리, 교동역사관

개화초 전문가와 함께하는 예술수업 및 동아리

본동초 지역주민과 함께하는 오케스트라

양남초 지역주민에 문화생활공간 어울림방 개방

<자료: 서울시교육청>

김민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