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北 GPS 교란 공격으로 민항기 4대 비상착륙

새누리당 정용기 의원새누리당 정용기 의원


2010년 이후 북한의 위치정보시스템(GPS) 전파교란으로 피해를 본 항공기가 2,100여대가 넘는 것으로 확인됐다.

국회 새누리당 정용기 의원(대전 대덕구, 국토교통위)이 국토부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2010년과 2011년, 2012년, 올해 등 4차례에 이뤄진 북한의 전파교란 기간에 실제 GPS가 교란됐다고 신고한 항공기는 모두 2,143대였다. 올해 3월 31일부터 엿새간 진행된 전파교란에는 국내외 민간항공기, 훈련기, 헬기 등 1007대가 피해를 봤다. 이로 인해 민간항공기 4대가 비상착륙하는 소동도 빚어졌다.


북한의 전파교란은 해가 갈수록 강도가 강해졌다.

하루 평균 피해 항공기는 2010년 4.6대에서 2011년 10.6대, 2012년 63.5대, 올해 167.8대로 대폭 늘었다. 특히 올해 4월 1일과 2일에는 각각 283대와 260대의 항공기가 GPS를 교란당했다.


북한의 교란신호 발신지역도 2011년과 2012년에는 황해북도 개성시 1곳이었지만 올해는 개성시를 포함해 해주시·연안군·평강군·금강산 등 5곳으로 늘어났다. 이 처럼 북한의 전파교란은 강화되고 있지만, 정부의 대응방안 마련은 늦어지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관련기사



국토부는 2013년 9월, 초정밀 GPS 보정시스템인 ‘에스바스(SBAS)’를 도입하기로 하고 2018년 시험서비스를 시작하겠다고 밝혔다.

에스바스가 운영되면 GPS 오차가 1m 수준으로 줄어들 뿐 아니라 전파교란이 이뤄질 경우, 착륙을 시도하는 항공기에는 6초, 운항 중인 항공기에는 10초 이내에 경보를 보낼 수 있다. 현재는 전파교란을 항공기에 알릴 방법이 없다. 하지만 에스바스 시험서비스 시작 시기는 2019년으로 미뤄진 상태다.

문제는 예산이었다. 국토부는 2015년과 올해 각각 164억원과 394억원의 예산을 요청했지만, 기획재정부는 81억원과 216억원만 배정했다.

정용기 의원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해서 신속한 조치가 이뤄질 수 있도록 범정부 차원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문병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