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朴대통령 지지도 26%로 최저치 추락...靑 대응카드는

"일시적 하락...곧 반등" 해석불구

일부 급격한 지지율 추락에 우려

개헌·대북정책으로 반전 노릴듯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 지지도가 취임 이후 최저치인 26%까지 떨어진 가운데 청와대의 대응이 주목된다.

26%라는 수치는 영남과 보수세력을 기반으로 나오는 고정 지지율, 즉 통상 30%대로 불리는 ‘콘크리트 지지율’을 오차 범위 이상 이탈한 것이어서 그 의미가 크다.


한국갤럽이 지난 11~13일 전국 남녀 유권자 1,026명(신뢰수준 95%, 표본오차 ±3.1%포인트)을 대상으로 여론조사(전화면접 방식)를 실시, 14일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박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은 지난주보다 3%포인트 떨어진 26%에 머물렀다. 이는 9월 둘째 주 33%에서 4주 연속 하락한 것으로 2013년 2월 박 대통령 취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반면 대통령 직무수행을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 평가는 59%로 전주보다 2%포인트 상승했다.

일단 청와대는 이 같은 지지율 하락을 ‘일시적인 현상’으로 해석하고 있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 결정, 지진과 태풍 등 자연재해, 국정감사에서 나오는 온갖 의혹 제기 등에 따라 지지율이 하락한 것으로 본다”면서 “곧 반등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관계자는 “국정감사에서 나오는 의혹 등은 점차 해소될 것이며 지지율도 그에 맞춰 재상승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같은 반응에도 불구하고 청와대 일부 참모들은 급격한 지지율 하락을 우려하는 모습이다.

관련기사



한 청와대 관계자는 “특히 대구경북(TK) 지역의 지지율 하락폭이 큰 것 같다”며 어두운 표정을 지었다. 이는 박 대통령의 고정 지지세력이 이탈하고 있다는 뜻이어서 곧장 ‘콘크리트 지지율도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는 진단으로 이어질 수 있다. 30%대 콘크리트 지지율은 세월호와 메르스 사태 때도 무너지지 않았고 박 대통령은 이를 바탕으로 국정 추진 동력을 유지해왔다.

이런 가운데 정치권 일각에서는 박 대통령이 지지율을 다시 끌어올리고 국정 장악력을 회복할 카드를 준비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가장 흔히 거론되는 카드가 개헌론이다. 개헌 논의 개시를 박 대통령이 직접 선언하고 그 논의 과정 또한 박 대통령이 주도 및 관리해나간다는 것이다.

북한과 관련한 카드가 준비된 게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한 여권 관계자는 “박 대통령이 최근 들어 북한 주민과 군인·간부들에게 거듭 탈북을 촉구하고 있는데 이는 대북 정책에서 어떤 큰 걸음을 옮기기 위한 사전작업이 아닌가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맹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