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산후조리원 8곳 특실요금 1,000만원 넘어

최고 2,000만원…500만원 이상 총 31곳

일반실 평균 서울 302만원·전북 154만원

산후조리원 8곳(서울 강남·서초구 7, 경기 성남시 분당구 1)의 특실 2주 이용료가 1,000만원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비싼 서울 강남구 H산후조리원은 2,000만원으로 서울 평균 특실요금 439만원의 4.6배나 됐다.


보건복지부가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산후조리원 2주간 이용요금(신생아 1명 기준)’을 보면 H산후조리원의 일반실(800만원)은 전북 정읍시 H산후조리원(70만원)의 11.4배, 특실(2,000만원)은 28.6배를 받았다.

특실 요금이 500만~1,000만원인 23개 조리원 중 17곳은 서울에, 6곳은 부산 해운대구, 경기 고양·성남·용인시, 대전 서구에 있었다.

서울 강남구의 산후조리원 일반실 요금은 350만~800만원으로 모두 서울지역 평균(302만원)을 웃돌았다. 반면 강동·강서·노원·송파·영등포·은평구에는 150만~170만원대도 있었다.


100만원 이하 산후조리원은 전국에 7곳(경기 양평 1, 경남 창원·통영 각 2, 전북 전주·정읍 각 1)이었다. 전국 평균 이용요금은 일반실이 230만원, 특실 298만원이었다.

관련기사



시도별 평균 요금은 서울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일반실은 서울(302만원)이 2위 울산(241만원)보다 25% 비쌌고 대전·경기·충남·대구 230만~202만원, 강원·인천·충북·부산·광주 195만~182만원, 경북·제주·전남·경남·전북 179만~154만원이었다. 특실은 서울(439만원)이 2위 대전(292만원)보다 50% 비쌌고 부산·울산·경기는 283만~280만원, 대구·충남·광주·충북·인천·강원은 249만~228만원, 경북·전남·경남·제주·전북 205만~195만원이었다.

남 의원은 “2주간 산후조리원 일반실 이용요금이 70만~2,000만원으로 천차만별인데 요금을 알아보려면 산후조리원에 전화하는 방법 밖에 없다”며 “소비자 선택권을 높이기 위해 이용요금, 감염병 발병 및 시설 현황 등에 대한 정보공시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남 의원은 또 “공공 산후조리원 4곳(서울 송파, 제주 서귀포, 충남 홍성, 전남 해남)의 평균 이용요금이 170만원(특실 없음)으로 민간에 비해 저렴해 입소 대기자가 넘치고 있지만 모자보건법령의 기준 때문에 출생아가 적은 농어촌지역 23개 시·군만 설치할 수 있을 뿐”이라며 설치요건 완화를 주장했다.

저출산 추세에도 전국 산후조리원 수는 2012년말 478곳에서 612곳으로 28% 늘어났다. 반면 산후조리원의 위생관리 등은 미흡했다. 2012년부터 올해 6월까지 모자보건법·식품위생법 등 관련법 위반으로 480건이 적발됐다. 2013년부터 올해 6월까지 신생아나 산모가 감염병에 걸린 사례도 804건이나 됐다.

임웅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