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삼성 "갤노트7 협력사 지원책 금주 발표...제 3 해외기관에 원인조사도 의뢰"

실태조사후 주문물량 피해 100% 보전키로

비주문물량 피해도 호환제품 생산으로 덜어주기로

삼성전자가 갤럭시노트7 단종에 따른 사후 피해 확산을 저지하고, 사태원인을 보다 철저히 규명하기 위한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17일 전자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이르면 이번 주중 갤노트7용 부품 등을 공급한 협력업체 지원 방안을 내놓을 예정이다. 또한 국내 공공기관에 이어 제 3의 해외 인증기관에 갤노트7 단종을 부른 제품 발화 원인 규명을 의뢰하는 방안을 금주중 단행할 계획이다.


전자업계 관계자는 “삼성전자가 갤노트7 사태와 관련해 1~3차 협력업체의 잠재적 손실 등에 대해 실태 파악을 하고 있다. 곧 이를 바탕으로 지원계획을 발표할 것”이라고 전했다. 갤노트7와 관련해 1차 협력업체 수는 수백곳, 2차 협력업체는 수천 곳으로 추정되며 3차 협력업체까지 광범위하게 포괄하면 1만 곳을 넘어서는 것으로 알려졌다. 아직 실태조사가 완료되지 않았지만 이들 업체의 잠정적인 손실액 규모를 모두 합치면 최대 수천억원대로 추산되고 있다.

관련기사



이중 대부분의 손실은 1차 협력업체들의 몫으로 추정된다. 1차 업체는 삼성전자에 납품할 재고부품 물량 등을 대량 확보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비해 2~3차 협력업체의 선투자 비용은 미미하지만 갤노트7 납품 기회를 잃은 데 따른 잠재적 매출 손실이 예상된다. 업계 관계자는 “1차 협력사가 갤노트7용 자재를 구입하면 2차 협력사가 그 가공업무를 맡고 (해당 일감 중 일부를) 다시 3차 업체가 마감하는 방식으로 사업이 진행됐을 터인데 그러다 보니 자재를 대량 구입한 1차 협력사의 부담이 상대적으로 클 수밖에 없다”며 “2~3차 업체는 일감을 수주하지 못한 기회비용손실과 가공업무용 일부 자재비용 등의 피해가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는 주문한 제품 물량으로 인해 협력업체들이 떠 안은 비용은 100% 보전해주기로 방침을 세운 것으로 확인됐다. 삼성은 자사가 주문하지 않은 비주문 물량이라도 협력사들이 예상 이상의 주문량에 대비해 미리 비축해 놓은 재고 부품 등에 대해선 최대한 비용부담을 덜어주는 쪽으로 협의를 하기로 했다. 이 같은 비주문물량중 갤노트7 이외의 다른 삼성전자 제품에 호환되는 제품은 호환제품 생산주문을 늘리는 형태로 매출손실을 보전하겠다는 게 삼성전자의 내부 방침이다. 다만 일부 비호환품목의 경우 최소한의 실비정도로 보상해주는 것 이외에는 방법이 마땅치 않아 고심 중이다.

한편 삼성전자는 갤노트7 결함 원인에 대한 자체 조사와 별도로 국제적으로 신뢰도 높은 제 3의 기관에 곧 조사를 맡길 예정이다. 이는 국내 공공기관이나 삼성전자가 지난달부터 잇따라 내놓은 갤노트7 발화원인 조사결과를 믿지 않는 일부 여론이 존재함에 따라 차선책으로 실행되는 조치다. 국가표준기술원은 이밖에도 산하기관을 통해 자체 조사를 진행중이며 미국의 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도 독자 조사를 진행 중이어서 이들 4축의 조사가 모두 완료되면 갤노트 단종사태를 부른 기술적 의문점들이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민병권 기자 newsroom@sedaily.com

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