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막히거나 좁아진 담도(쓸개관)에 삽입하는 스텐트가 언제, 어떤 원인으로 막히는 지를 세계 최초로 밝혀냈다.
21일 차의과학대 분당차병원에 따르면 권창일(사진) 소화기내과 교수가 미국 인디애나대 췌담도 내시경센터와 공동으로 이 같은 성과를 거뒀다.
담도는 간에서 분비된 담즙이 십이지장으로 이동하는 통로다. 담도가 막히면 간에 담즙이 축척돼 눈의 흰자와 피부가 노랗게 변하는 황달, 간경변 등의 질환이 나타난다.
이 때문에 좁아진 부위에 스텐트를 넣어 이동경로를 확보하게 되는데 일정 시간이 지나면 막힘 현상이 발생해 반복해서 재시술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권 교수는 환자에게서 회수한 스텐트를 절개해 막힘 현상이 시작되는 부위와 메커니즘·원인물질을 분석했으며, 이 현상들이 시간에 따라 어떤 인과관계로 일어나는지를 규명했다.
담도에 삽입하는 스텐트에는 담즙이 쉽게 배출되도록 구멍을 다중으로 만들어 놓았다. 권 교수는 이 구멍들이 미세 난류(micro-turbulence)를 유발, 삽입 4주 뒤부터 스텐트 안쪽 표면에 세균들이 모여 ‘바이오 필름’이 형성되기 시작한다. 삽입 8주 후에는 바이오필름 때문에 내강 표면이 거칠어져 담즙 배출이 느려지고 (포획된) 담즙 찌꺼기나 십이지장 내용물까지 달라붙어 스텐트 막힘이 증폭된다는 것을 규명했다.
현재 플라스틱 스텐트는 보통 3개월, 금속 스텐트는 5~6개월 이전에 교체해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권 교수는 “미세난류를 일으키는 담즙 배출 구멍의 수를 줄이고, 바이오필름 형성을 억제하는 코팅·표면처리 기술, 항 바이오필름 물질 등을 적용하면 스텐트 유지·교체기간을 획기적으로 늘려 환자들의 고통을 경감시킬 수 있을 것”이라며 “스텐트 막힘을 일으키는 여러 인자들을 효과적으로 예방·억제할 수 있는 새로운 스텐트를 개발 중”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소화기 분야의 국제학술지 ‘소화기질환과 과학(Digestive Diseases and Sciences)’과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Clinical Endoscopy)에 표지 논문으로 선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