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삶의 만족도'가 가장 낮다고 느끼는 세대는?



우리나라 국민 중 50대가 삶의 만족도가 가장 낮은 세대로 꼽혔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지난해 발간한 ‘2015 보건복지정책 수요조사 및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대 이후 삶의 만족도는 나이가 들수록 낮아지다가 50대에 바닥을 치고 다시 올라가는 ‘U자형’ 변화를 보이고 있다고 23일 발표했다.


보고서는 보건복지 수요와 정책에 관한 국민들의 인식을 알기 위해 1,000명을 무작위로 추출한 뒤 전화 설문을 통해 도출한 결과다.

‘삶에 만족한다’는 응답은 20대가 82.6%로 가장 높았고, 30대는 75.5%, 40대가 71.4%로 떨어졌으며 50대는 이중 66.9%로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반면 60~64세의 만족도는 71.6%, 65세 이상의 만족도는 78.1%였다.


성별로는 여성보다 남성이, 그 외 6인 이상 가구, 중졸 이하, 실업자, 소득 100만원 미만의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삶의 낮은 만족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보고서는 “50대의 삶의 만족도가 가장 낮다는 점은 베이비부머 세대인 이들의 애환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결과”라고 설명했다.

연령별로는 20대의 경우 일자리(37.4%)가 가장 큰 걱정거리라고 답하는 경우가 흔했고, 30대와 40대는 ‘자녀교육’(30대 31.3%, 40대 36.2%)을 꼽는 비율이 높았다.

50대 이상은 건강(50대 32%, 60∼64세 46.6%, 65세 이상 53.8%)을 가장 큰 걱정거리라고 답하는 사람이 많았다.

복지 정책 확대를 위한 증세에 대해 찬성 비율은 46.7%, 반대 비율은 53.5%로 증세를 반대하는 의견이 조금 더 우세했다.

이에 대해 보고서는 “노인 집단이 보건복지정책의 직접적인 수혜를 경험해 타 연령대 집단보다 증세 찬성 비율이 높았다”며 “타 연령대보다 증세 반대 비율이 높은 30대는 경제활동을 시작해 자산을 이제 막 축적하기 시작한 집단이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정수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