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2016 한국건축문화대상]사회공공부문 본상-세종특별자치시청사

설계자 정영균 희림 대표

"놀이터 같은 시청사 보여주고 싶었다"

정영균 희림건축사사무소 대표 / 사진=희림건축사사무소 제공정영균 희림건축사사무소 대표 / 사진=희림건축사사무소 제공




“세종시청사로 공공청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자 했습니다. 앞으로 지속해서 성장하는 도시의 특성을 반영해야 하는 것도 건축 설계의 큰 목표였습니다.”


정영균(사진)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대표는 세종특별시청사를 설계하면서 새로운 공공청사의 모습을 제시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던 가치였다고 말했다. 즉, 기존의 권위적이며 폐쇄적인 관공서의 이미지를 탈피하고 시민에게 열려있는 놀이터와 같은 시청사를 보여주고 싶었다는 게 정 대표의 설명이다.

관련기사



정 대표는 이를 위해 청사가 들어설 부지와 새로운 건축적 기술, 건축물에 담아야 할 이념 등을 여러 방면으로 살펴보고 검토했다고 한다. 그는 “세종시의 행정수요, 시민들과 소통할 수 있게 하는 방법, 도시 성장의 지속가능성, 새로운 건축 기술 등 고려해야 할 요소가 많았다”며 “이 같은 면들을 다각도로 면밀히 검토해 설계한 결과, 세종시청사는 해외 어느 곳에서도 볼 수 없는 독창적인 모습으로 탄생하게 됐다”고 말했다. 청사의 산책길 같은 진입로, 자연 경치를 그대로 안은 건물 내부 공간, 투명한 유리창을 건물 전면에 드러나게 해 미래지향적인 디자인을 그리되 에너지 낭비는 최소화한 친환경 설계 등이 그 예다.

특히 정 대표가 가장 노력을 기울였던 부분은 현대 건물에 전통적인 요소를 접목하는 것이었다. 전통 건축물의 기와를 재해석해 시청사 상층부에 외부로 겹겹이 쌓인 유리창들을 배치해 둔 곳을 말한다. 정 대표는 이에 대해 “입체적으로 디자인을 담으려다 보니 작업이 힘들었다”며 가장 쉽지 않은 작업 중 하나였다고 소개했다.

정 대표의 건축 철학은 사람 중심이다. “건축을 하면서 궁극적으로 건물에 들어서는 모든 사람에게 건강, 즐거움, 행복을 느끼게 하고 싶다”며 “건축 기술 개발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투자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또 해외에 한국 건축의 우수성을 알리는 ‘한국 건축문화의 세계화’도 정 대표는 이루고자 한다. “지금 한류라고 하면 케이팝(K-pop)을 가장 먼저 떠올리지 않나. 앞으로는 건물을 통해 한류를 느끼게 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희림건축사사무소가 중국에 아파트를 설계하면서 온돌문화를 자연스럽게 전파했던 것처럼 건축물에 담을 수 있는 한국 문화를 다른 나라 문화에 자연스럽게 녹아들게 하는 방법을 깊이 생각하는 중”이라고 말했다./특별취재팀 junpark@sedaily.com

이완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