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지능형 전자발찌' 나온다…재범징후 실시간 예측 가능

맥박·체온 등 관제센터에 전송해 위험성 예측…2018년 시범운영

20일 오후 서울 휘경동 법무부 위치추적중앙관제센터에서 관계자가 2008년 1세대부터 진화되어온 전자발찌를 들어 보이고 있다./출처=연합뉴스20일 오후 서울 휘경동 법무부 위치추적중앙관제센터에서 관계자가 2008년 1세대부터 진화되어온 전자발찌를 들어 보이고 있다./출처=연합뉴스


우범자와 관련한 빅데이터를 활용하고 생체 정보를 인식해 재범징후를 예측하는 것이 실제로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25일 법무부는 2014년 개발 사업에 착수한 ‘지능형 전자감독시스템’이 2018년 시범운영을 앞두고 있다고 밝혔다. 전자감독제도는 재범 위험성이 높은 특정 범죄자의 몸에 전자 장치를 부착해 24시간 위치를 파악하고 보호관찰관의 감독으로 재범을 억제하고자 2008년 도입됐다.


기존 제도는 범죄가 발생하면 범죄자를 신속하게 잡겠다는 사후 대응의 성격이 강했지만, 새로운 시스템은 주변 정보나 축적된 과거 행동을 바탕으로 범죄징후를 파악해 선제 대응하는 데 주안점을 뒀다.

전자발찌가 부착자의 단순 위치정보만을 제공하는 것에서 발전해, 우범자 범행 가능성을 다각도로 분석하고 이를 사전에 차단하는 수준까지 나아간 것이다.


새 시스템은 ‘일체형 전자발찌’와 ‘범죄징후 예측시스템’ 두 가지로 이뤄지는 게 가장 큰 특징이다. 기존 시스템은 부착 대상자가 휴대용 장치를 잃어버리는 등 관리상 문제점이 있었지만, 일체형은 발목에 부착하는 전자발찌와 휴대용 위치추적 장치를 하나로 합친 형태다.

관련기사



또 해당 기기에는 생체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가 달려있어 부착 대상자의 맥박, 체온, 움직임 및 위치 등 정보가 실시간으로 중앙관제센터로 전송되고, 센터는 이 정보와 부착 대상자의 과거 범죄수법, 이동패턴 등을 분석해 재범 위험성을 실시간으로 예측하게 된다.

법무부 관계자는 “일체형 전자발찌는 현재 몇 가지 샘플을 만들어 테스트해보는 단계”이며 “통계전문가들이 수집한 데이터로 테스트하며 예측시스템의 정확도를 높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올 연말 개발이 끝날 예정인 해당 사업은 내년부터 통합 개발에 들어간 뒤 2018년엔 범죄자들을 대상으로 시범운영에 들어간다.

한편 전자발찌의 훼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내구성도 높일 계획이다. 법무부는 2008년 도입 당시 전자발찌 재료로 사용감이 좋은 의료용 실리콘을 썼으나 2012년부터 강화 스테인리스를 넓게 펴서 전자발찌 안에 넣는 등 재질 강화에 힘써왔다.

법무부 관계자는 “새로운 물질을 재료로 사용해 내구성 강화도 힘쓰고 있다”면서 “현재 사업이 계획대로 진행되는 중이며 2018년에는 기존 전자감독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한 새로운 시스템을 선보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재아인턴기자 leejaea555@sedaily.com

이재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