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롯데 "이젠 질적 성장으로"

신동빈, 대국민사과·쇄신안 발표

롯데그룹이 ‘양적 성장’에서 ‘질적 성장’으로 경영 패러다임을 대전환한다.

회장 직속 ‘준법경영위원회’를 설치해 투명하고 도덕적인 기업으로 변신을 시도하는 한편 일감몰아주기·배임·횡령 등 롯데 비리를 주도했다는 의혹을 받았던 그룹 정책본부 기능을 축소하기로 했다.


이와 더불어 호텔롯데 조기상장을 재추진해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향후 5년간 40조원 투자, 7만명 신규 채용에 나서기로 했다. 신동빈 롯데 회장은 25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롯데 비리 의혹에 대해 국민들에게 사과하면서 이 같은 내용의 롯데 쇄신안을 공개했다.

관련기사



신 회장이 대국민사과에 나선 것은 형제 간 경영권 분쟁에 대한 비판 여론이 거셌던 지난해 8월 이후 두 번째다. 신 회장은 이날 “지난해부터 시작된 경영권 분쟁이 마무리되지 않은 상황에서 최근 검찰수사로 심려를 끼쳐 깊이 사과드린다”며 “롯데의 복잡한 지배구조와 권위적인 의사결정 구조로 인해 국민의 눈높이를 만족시키는 데 부족함이 있었다”고 고개를 숙였다.

롯데의 내부적 취약성이 오너가(家) 횡령·배임 같은 각종 비리 의혹의 근본 원인이 됐다는 점을 시인한 것이다. 신 회장은 이어 “그동안 신격호 총괄회장을 보좌해 그룹 경영에 참여하면서 좀 더 적극적으로 변화와 개혁을 이루지 못한 점에 책임을 통감한다”고 거듭 사과했다.

롯데는 이번 검찰 수사를 계기로 도덕적이고 투명한 기업, 사회에 공헌하는 기업으로 다시 태어난다는 목표 아래 6대 개혁안을 추진할 방침이다. 롯데의 한 관계자는 “그동안 롯데가 고속·압축성장을 추진하면서 산업생태계에 갈등을 일으키는 등 부작용이 있었다”며 “조직원과 사회에 가치를 더할 수 있는 기업으로 재탄생하는 게 이번 쇄신안의 궁극적 목표”라고 설명했다.

서일범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