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스타 문화

[현장] 연극 '불역쾌재' 서로 通하면, 이 또한 즐겁지 아니한가

둘 중 하나는 죽어야만 하는 정치적 위기에 놓인 두 정승이 뜬금없이 목숨을 건 내기를 하며 금강산으로 여행을 떠난다. 하나는 풍류를 즐기는 가객(歌客)이요 하나는 실용을 따지는 논객(論客)이다. 극과 극을 달리는 두 노인의 엉뚱한 내기는 어떤 결말을 빚게 될까.

26일(수) 오후 서울 LG아트센터에서 연극 ‘불역쾌재’의 프레스콜이 진행됐다. 하이라이트 시연 후 장우재 연출과 배우 이호재, 오영수, 이명행, 윤상화가 참석해 작품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다.




사진=LG아트센터사진=LG아트센터


‘불역쾌재’는 절친한 친구인 태보가 일으킨 정치적 위기에 휘말린 두 대감이 ‘금강산 외팔담 아래 구룡폭포에 동굴이 있는지’를 놓고 목숨 건 내기를 벌이다 이를 직접 확인하기 위해 여행을 떠나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담은 작품이다.

왕(이명행)은 갈라진 국론을 통합하기 위해 두 대감 중 하나를 죽여야만 하는 상황에서 이들을 각자 불러내 상대방 논리의 허점을 찾아 고하라고 명을 내린다. 포용에 능한 경숙(이호재)과 엄격한 분별력을 지닌 기지(오영수)는 금강산에 다다르기까지 서로의 허점을 찾아내려 하지만, 이 과정이 순탄치만은 않다.

작품은 조선시대 문인 성현이 슨 기행문 ‘관동만유’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 제목 ‘불역쾌재’는 ‘이 또한 즐겁지 아니한가’라는 뜻으로 다산 정약용의 ‘불역쾌재행’, 중국 문인 김성탄의 ‘불역쾌재삼십삼척’ 등 옛 선비들의 시에서 따왔다.

사진=LG아트센터사진=LG아트센터


장우재 연출은 “작품에 등장하는 ‘이 또한’ 이라는 말은 어떤 사실을 내포하고 있음에도 ‘즐겁다’고 표현한다. 이는 즉 보는 사람의 시각에 따라 달리 보일 수 있는 수많은 사실과 사건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사람들이 자신을 대할 때와 상대를 대할 때의 모습을 가정하면, 상대의 얼굴이 어두운데 농담으로 ‘얼굴 좋아보이네’라고 할 수 있다”며 “질문을 난해하게 던진다기보다는 양갈래에서 판단을 내려야 할 상황에 두 대감이 어떤 선택을 하는가를 주목하면 흐름이 이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극이 후반으로 접어들면 서로에게 닥친 위기를 풀어가는 방법의 차이에서 오는 갈등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적 성찰이 등장한다.

‘불역쾌재’는 어떤 철학을 통해 답을 구할 수 있는가 묻고 있는 작품이다. 장우재 연출은 “문제와 아픔은 있지만 앞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이야기를 하고자 했다“ 며 ”그에 대한 답을 구하려 하다보니 문제점이 자연스럽게 딸려온다. 그래서 현실의 문제를 드러내는 것보다 우리가 어떻게 생각하고 풀어내야 하는지가 중요하다 ”고 설명했다.

연극 ‘불역쾌재’ 장우재 연출 / 사진=LG아트센터연극 ‘불역쾌재’ 장우재 연출 / 사진=LG아트센터


결국 작품이 이야기하고자 하는건 대립을 극복하는 화합의 과정이다. 장우재 연출은 “분별로 해결해야 할 일이 있고, 포용으로 해결해야 할 일이 있다. 경숙과 기지의 논리를 넘어서는 지향점이 등장하는데 이점을 중점적으로 봐 주셨으면 한다”고 말했다.

오영수 역시 “2막에 가면 두 사람이 대립이 아닌 통합을 이뤄내며 하나의 지향점을 찾아간다”며 “사회가 너무나 어지럽기 때문에 ‘연극이 보다 나은 사회의 디딤돌’이라고 누가 이야기했듯 이 작품도 많은 느낌을 주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전했다.

한편 평생을 대립해온 두 사대부의 뜻하지 않은 여행, 이 과정에서 등장하는 각종 에피소드를 통해 하나의 지향점을 찾아가는 이야기를 담은 연극 ‘불역쾌재’는 26일(수)부터 11월 6일(일)까지 서울 LG아트센터에서 공연된다.

최상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