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피플

美교수들도 "김훈엽, 당신이 갑상선 로봇수술 1인자"

상처.통증 거의 없는 '로봇 경구수술법' 개발

"한수 배워가자" 고려대안암병원 잇달아 찾아

김훈엽 고려대안암병원 교수(두 사진의 오른쪽)로부터 ‘로봇 경구 갑상선수술법’을 배워간 미국 존스홉킨스대병원의 조나단 러셀(왼쪽) 교수, 클리브랜드클리닉의 에런 버버 교수와 함께 찍은 사진들. /사진제공=고려대안암병원김훈엽 고려대안암병원 교수(두 사진의 오른쪽)로부터 ‘로봇 경구 갑상선수술법’을 배워간 미국 존스홉킨스대병원의 조나단 러셀(왼쪽) 교수, 클리브랜드클리닉의 에런 버버 교수와 함께 찍은 사진들. /사진제공=고려대안암병원





미국에서 톱5에 드는 대학병원 교수들이 고려대안암병원에서 갑상선 로봇수술을 잇달아 전수받았다.

스승은 ‘로봇 경구(經口) 갑상선수술법’을 개발한 김훈엽 갑상선센터 교수, ‘수제자’는 존스홉킨스대병원 두경부외과 조나단 러셀 교수와 클리브랜드클리닉 에런 버버 교수다.


김 교수가 개발한 수술법은 입 안에 3개(직경 5㎜ 2개, 20㎜ 1개)의 작은 구멍을 내고 이 곳을 통해 수술용 로봇팔을 턱 밑으로 넣어 환부를 제거한다. 상처가 작고 수술 후 한 달 정도면 입안 수술 상처가 희미해지거나 사라진다. 입과 목이 가깝기 때문에 수술 거리가 짧고 수술 후 통증과 음성 변화도 거의 없다.

관련기사



지난 7월 일주일간 김 교수로부터 로봇수술기법을 익히고 돌아간 러셀 교수는 “무혈 수술에 가까운 김 교수의 수술법이 매우 인상적이었다”는 소감을 남겼다. 김 교수는 지난해엔 존스홉킨스대병원에서 내분비외과 의료진을 대상으로 수술법을 시연했다. 존스홉킨스 측은 이후 수 차례 환자에게 새 수술법을 적용했으며 본격 도입을 앞두고 러셀 교수를 김 교수에게 보냈다.

이달 초 한국을 찾은 클리브랜드클리닉 내분비외과 에런 버버 교수도 이틀에 걸쳐 김 교수팀의 로봇수술 광경을 참관하며 수술기법을 배웠다. 그는 김 교수에게 앞으로 클리브랜드클리닉에서 외과 교수들을 대상으로 직접 시연·강의해달라고 부탁했다.

김 교수는 “환자에게 최상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많은 의료진과 연구자들이 첨단 의료기기와 수술법을 개발하고 있다”며 “로봇경구갑상선수술은 가장 진보된 환자 중심의 갑상선수술법”이라고 말했다.

이 수술법은 미국의 국제학술지 ‘외과 내시경(Surgical Endoscopy)’에 논문으로 소개됐고 김 교수는 미국 노스카(NOSCAR) 학회로부터 우수논문상을 받았다.

/임웅재기자 jaelim@sedaily.com

임웅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