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與 비박 "당 지도부 사퇴를" 연일 압박

"李대표 실언, 당 조롱거리로

모두 쇄신하는 모습 보여야"

지도부선 "신중해야" 일관

계파 갈등 다시 불거질수도

김성태 새누리당 의원 /연합뉴스김성태 새누리당 의원 /연합뉴스




하태경 새누리당 의원 /연합뉴스하태경 새누리당 의원 /연합뉴스



새누리당의 비주류 의원들을 중심으로 연일 당 지도부 사퇴론이 쏟아지고 있다. 하지만 당내 절대다수인 친박계의 지원을 등에 업은 지도부는 사퇴 요구에 미온적인 대응으로 일관하고 있어 ‘최순실 게이트’ 파문이 장기화할 경우 격렬한 계파 갈등이 또 불거질 것으로 예상된다.

익명을 요구한 비박계 중진 의원은 27일 서울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이정현 대표는 ‘나도 연설문 쓸 때 친구에게 의견을 물어본다’는 발언으로 이번 파문을 최악의 조롱거리로 만들어버린 장본인”이라며 “이런 실언과는 별개로 지금처럼 큰 사태를 수습하려면 청와대고 당이고 싹 다 바뀌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무성 전 대표의 측근인 김성태 의원도 이날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이 대표나 측근 인사로 분류될 수 있는 지도부가 지금까지 대통령이나 청와대에 바른말·쓴소리를 제대로 한 적 없다”며 “이런 지도체제로 성난 민심을 수용할 수 있겠느냐”고 사퇴 필요성을 역설했다.

관련기사



하태경 의원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이정현 대표가 지난 2013~2014년 청와대 정무수석·홍보수석으로 근무했던 이력을 거론하며 “이 대표는 대표이기 이전에 ‘최순실 사태’에 연대책임이 있다”며 “최순실의 국정농단을 알았는지, 알았다면 이를 막기 위해 무엇을 했는지 말해야 한다”고 압박하기도 했다.

비박계의 이 같은 요구에도 불구하고 당장 새누리당 지도부의 총사퇴가 현실화할 가능성은 미지수다. 당내 다수세력인 친박계가 “지도부 교체는 더 큰 혼란을 부를 수 있다”며 신중론을 펴고 있는데다 현 지도부 역시 사퇴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밝히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앞으로 최순실 게이트에 대한 특별검사가 본격 시작되고 여론 역시 악화일로를 거듭할 경우 새누리당이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하는 시나리오도 배제할 수 없다. 이렇게 되면 한동안 잠잠했던 계파 갈등이 위원장 선정과 위원 구성 등을 놓고 다시 한 번 폭발할 것으로 전망된다.

나윤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