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3·4분기 동대문 상권 뜨고 명동은 지고

서울 시내 상권 중 동대문 상권은 뜨고 있는 반면 명동 상권은 고전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연구원이 30일 발표한 ‘2016년 3·4분기 서울지역 민생경제 체감경기 진단 보고서’에 따르면 동대문 상인들이 느끼는 매출 체감도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10%~120%였지만, 명동 상인들은 70%~80%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연구원은 동대문 상권이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개관, 대기업 쇼핑몰 입점, 동남아 관광객 증가 등과 함께 ‘코리아 그랜드 세일’ 등 이벤트로 내외국인을 끌어들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명동 상권은 화장품 업종만 중국 관광객의 선호가 높아 매출이 다소 증가하고 있을 뿐 의류 업종은 제조·유통일괄형(SPA) 브랜드 성장과 온라인 구매 증가 등의 여파로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다고 진단했다. 연구원은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 등 정치 상황으로 인한 중국관광객 감소 등이 매출 급감으로 이어질 수 있다”면서 “내수 불황 상황에서 내국인 방문율을 높이고 소비로 이어지는 관광 상권 형성을 위해 시와 상인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서울시민들의 체감경기를 나타내는 소비자태도지수(CSI)는 올 3·4분기 96.5로 직전 분기보다 2.4포인트 상승했다. 이 지수가 100을 넘으면 경기전망이 낙관적이란 의미고 이 보다 낮으면 그 반대다. CSI는 지난해 4·4분기 98.3에서 올 1·4분기 때 95, 2·4분기 94.1로 떨어졌다가 이번에 반등했다. 연구원은 여름휴가와 추석특수 등에 힘입어 소폭 상승했지만, 여전히 100 아래에 머물고 있어 경기는 여전히 위축된 상태로 분석했다.

김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