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간접투자

개인에 돈 모으던 부동산 P2P업체, 기관 찾아나선 까닭은

테라펀딩, 지난달 기관서 5억 모집

투자자 외연 넓히고 성장기반 마련

그동안 개인투자자를 상대로 자금을 모집해온 부동산 개인 간(P2P·Peer to Peer) 대출 1위 업체 ‘테라펀딩’이 앞으로 기관을 투자자로 모집하겠다고 밝혀 그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부동산 P2P 업체를 이용하는 사업자(대출자)들이 갈수록 증가하는 상황에서 개인으로만 투자자를 모으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2일 금융위원회가 개인들의 투자 한도를 설정하기로 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양태영 테라펀딩 대표는 최근 서울경제신문과 가진 인터뷰에서 앞으로 개인뿐만 아니라 기관을 대상으로 투자자를 모집하겠다고 밝혔다. 테라펀딩은 이미 지난달 20일 ‘시흥목감지구 상가 신축 4차’ 투자자 모집 때 기관으로부터 5억원을 모집한 바 있다. 처음으로 기관을 대상으로 자금을 모집한 사례다. 지금까지는 건당 평균 투자금액이 약 500만원 수준인 개인들이 주 투자자였다.


이처럼 테라펀딩이 투자자 외연 확장에 나서는 것은 장기적인 성장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서다. 그는 “올 초까지만 하더라도 투자자는 넘치는 반면 투자할 수 있는 물건이 적은 상황이었지만 최근 P2P를 이용하려는 대출자들이 늘어나면서 투자 물건이 투자자를 넘어서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며 “개인으로만 투자금을 마련하기에는 한계에 봉착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11월 현재 테라펀딩의 올해 신규 취급액 600억원 중 기관 비중은 1%에 못 미치는 수준이다. 양 대표는 “내년 신규 대출액 목표를 2,000억원으로 잡고 있다”며 “개인을 대상으로 한 취급액을 두 배 정도로 늘릴 계획이며 나머지는 기관을 유치하려 한다”고 말했다.

실제 세계 1위의 P2P 업체인 렌딩클럽도 기관의 비중이 높다. 지난해 렌딩클럽의 대출액 64억달러 중 80%인 51억달러가 기관을 통해 모집한 자금이었다.

최근 저금리 기조가 심화되면서 대체투자에 눈을 뜬 자산운용사들이 증가하고 있는 점도 테라펀딩이 기관에 관심을 가지는 이유다. 운용사들이 투자처 확보에 목마른 상황이라 P2P에 대한 관심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고병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