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서울경제TV] 최순실 쇼크… 한국경제 어디로



[앵커]

최순실 사태가 한국 사회를 충격으로 몰아넣고 있습니다. 가뜩이나 경제 여건이 좋지 못한 상황에서 ‘최순실 쇼크’로 전방위적인 피해가 예상됩니다. 궁지에 몰린 박근혜 대통령이 부분 개각을 해 경제부총리를 갈아치웠는데요. 오늘 투데이포커스에서는 ‘최순실 쇼크’에 빠진 한국 경제를 진단해보겠습니다. 경제산업부 김혜영 기자 나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기자]

네. 안녕하세요.

[앵커]

대내외 여건이 녹록치 않은 상황에서 ‘최순실 쇼크’로 주식시장이 맥을 못추고 있다고요?

[기자]

네. 최순실 쇼크로 주식시장이 휘청이고 있습니다. 오늘 코스피 지수는 1,980선마저 내줬습니다.

어제 7주 만에 2,000선이 장중 붕괴된 이후 오늘은 종가 기준으로 2,000선이 깨진 1,978에 장을 마쳤는데요. 최순실 쇼크로 정책 공백이 생길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면서 투자자들의 불안 심리를 자극한 것으로 보입니다.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미국의 대선 등 대내외적으로 불안 요인까지 겹친 상황인데요.

이 가운데 ‘공포지수’로 불리는 변동성 지수가 4개월여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오늘 장 코스피200 변동성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6.63% 급등한 17.25로 장을 마감했습니다. 통상 변동성 지수는 코스피가 급락할 때 반대로 급등하는 특성이 있어 투자자들 사이에서 ‘공포지수’로 불립니다.

[앵커]

산업계가 제조업의 위기 속에서 최순실 사태로 산업계 전반에 악영향이 미칠까 노심초사하고 있다고요?

[기자]

네. 최순실 쇼크가 산업계에 미치는 영향도 만만치 않습니다.


특히 위기의 제조업이라는 이야기가 나올 정도로 현재 우리 경제가 어려운 상황인데, 최순실 게이트로 국정 공백, 즉 리더십 공백이 생기면서 향후 경제 상황이 더 암울할 것으로 보입니다. 글로벌 경기가 안좋아 수출이 안되고, 갤럭시노트7 단종 사태 등 제조업이 어려울수록 강력한 산업정책을 펼쳐야 하는 데 그렇게 할 수 없는 지경에 빠진 것입니다. 조선, 해운업 등 구조조정을 견실히 추진해야 하는 등 경제 정책의 중요성이 어느때보다도 커지고 있는 시점이죠.

관련기사



실제로 우리 경제를 이끌어오던 쌍두마차인 전기 전자와 자동차 업종이 흔들리고 있어 우려는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갤럭시노트7 단종과 현대차의 파업·리콜 등 한국 경제를 이끌어가던 ‘빅2’ 기업의 악재가 겹치면서 각종 경제지표들은 급격한 하강곡선을 그리고 있는데요.

9월 생산·소비·투자 지표는 일제히 하락했고, 10월 수출 실적 역시 마이너스를 벗어나지 못했습니다. 지난달 수출은 1년 전보다 3.2% 줄었습니다.

[앵커]

네. 이같은 상황에서 미르재단, K스포츠재단 모금과 관련한 검찰의 수사가 본격화하면서 돈을 준 기업 관계자들이 줄줄이 소환된다고요?

[기자]

네. 최순실 쇼크의 후폭풍이 재계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미르와 K스포츠 재단에 출연금을 낸 대기업들도 잔뜩 긴장하고 있는데요.

우선, 삼성은 최씨의 딸 정유라씨의 승마를 지원한 의혹을 받고 있습니다. 또한 검찰은 삼성이 최씨의 독일 회사를 통해 이들 모녀에게 35억을 건넨 단서를 잡고 이를 추적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포스코 실무진은 최씨와 만나 배드민턴 창단을 논의한 것을 비롯, 최씨로부터 인사 영향까지 받았다는 의혹을 사고 있습니다. CJ도 최씨의 측근인 차은택 감독이 주도한 문화창조융합벨트에 1조원이 넘는 투자계획을 실행 중인 것으로 알려져 그 배경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만약 검찰이 대기업에 대한 수사를 대대적으로 확대해 줄소환이 이어진다면 이는 2003년부터 이듬해 봄까지 이어진 대검 중수부의 대선자금수사 이후 12년 만의 일입니다. 결국, 검찰 수사로 인한 경영활동 위축 등 산업계의 우려가 큰 상황입니다.

[앵커]

최순실 쇼크로 경기회복이 지연되는 등 4분기 성장이 큰 타격을 받을 것이라는 전망이 해외 투자은행들로부터 나왔다고요?

[기자]

네. 최순실 쇼크로 인한 정치불안이 올 4분기 우리 경제의 성장률 둔화 폭을 키울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국제금융센터 등에 따르면 해외 IB들은 최순실 씨 사태로 빚어진 정치적 불확실성으로 인한 금융시장 영향은 제한적이지만 성장의 하방 위험은 확대될 것이라고 분석했는데요. 씨티그룹은, 정치적 불안으로 실물경제 전반적으로 민간심리가 위축되면서 4분기 성장률 둔화 폭이 커지고 경기회복세가 지연될 소지가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블룸버그등은 국회의 예산안 심사가 지연되고 기업구조조정과 경제개혁 추진 여력이 제한될 수 있다고 전망했고, 바클레이즈는 정치적 불확실성에 따라 당분간 경기 안정 정책에 주안점이 놓일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김혜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