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나랏돈 7조1,000억원 투입된 병영생활관 현대화 사업 ‘부실’

기재부, 평가 결과 발표... 부대 증·창설 계획 반영 안된 탓

나랏돈 7조1,000억원을 투입해 침상형 구조의 병영생활관을 침대형으로 바꾸는 현대화 사업이 부실 투성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큰 문제는 해당 사업이 부대 재배치, 증·창설 계획 등과 동떨어져 진행됐었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이미 현대화 사업이 진행된 공간의 상당 면적은 향후 쓰이지 않게 될 예정이다. 정작 필요한 곳에는 손도 대지 못했다.

기획재정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병영생활관 현대화사업 심층평가 결과를 3일 발표했다. 2004년부터 국방부가 추진한 병영생활관 현대화사업은 침상형 구조의 병영생활관을 침대형으로 바꾸고 화장실, 체력단련장 등 생활관 내 편의시설을 확충하는 사업이다. 국방부는 총 7조1,000억원을 쏟아부어 2012년 사업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지난해 국방부는 육군 일부 병영생활관에 현대화사업이 마무리되지 않았다며 기재부에 추가 예산을 요구했다. 추가 예산 규모는 121대대분으로 애초 사업 목표분(666대대분)의 19%에 해당했다.


기재부는 국방부의 문제 제기가 적절한지를 따져보겠다며 지난해 10월 심층평가에 착수했다. 육군을 제외한 해군과 공군은 계획대로 사업을 완료한 상태였다. 평가 결과 국방부는 683대대분에 해당하는 생활관을 현대화했다. 이는 목표치의 95.9% 수준이었다. 그러나 사업을 진행한 곳 중 108대대분은 ‘국방개혁 기본계획’에 따라 부대가 개편돼 2026년 이후로는 병영생활관으로 활용되지 않을 곳으로 밝혀졌다.

관련기사



필요한 곳은 빼먹고 하지 않아도 될 곳에 사업을 진행한 것은 국방부가 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아 사업이 전반적으로 부실했기 때문이라고 기재부는 지적했다. 병영생활관 현대화사업을 진행하면서 ‘국방개혁 기본계획’에 따라 부대 재배치, 부대 증·창설 계획이 바뀌었음에도 이를 반영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예산관리 측면에서도 사업 총액을 설정하지 않아 합리적으로 총액을 조정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병영생활관 집행 관련 서류도 제대로 관리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기재부는 이같은 잉여면적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추가 소요를 최소화해 내년 2월까지 추가 소요 규모를 재산정하라고 국방부에 요구했다. /세종=임지훈기자 jhlim@sedaily.com

임지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