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朴대통령 지지율 5% ‘통치불능 단계’ 이래서야 대통령이라 할 수 있나

朴대통령 지지율 5% ‘통치불능 단계’ 이래서야 대통령이라 할 수 있나朴대통령 지지율 5% ‘통치불능 단계’ 이래서야 대통령이라 할 수 있나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율이 5%라는 통치불능 단계에 돌입했다.


4일 한국갤럽이 11월 첫째 주(1~3일) 전국 성인 1,005명에게 박근혜 대통령이 대통령으로서의 직무를 잘 수행하고 있다고 보는지 잘못 수행하고 있다고 보는지 질문한 결과, 5%가 긍정 평가했고 89%는 부정적으로 응답했다. 6%는 선택하지 않았다.

대통령 직무 긍정률은 지난주 대비 12%포인트 하락해 역대 대통령 최저치를 기록했다. 반면 부정률은 15%포인트 상승해 최고치를 경신했다.

각 세대별 긍정·부정률은 20대 1% vs 95%, 30대 1% vs 93%, 40대 3% vs 94%, 50대 3% vs 88%, 60대 이상 13% vs 79%로 알려졌다.


박 대통령은 2013년 취임 초기 인사 난맥 등을 겪으며 직무 긍정률 40% 선에 머물다가 5월 초 처음으로 50%를 넘겼다. 그해 9월 둘째 주 67%로 최고치를 보였다. 박 대통령 직무 긍정률은 주로 대북·외교 이슈가 있을 때 상승했고 2014년 세월호 참사, 2015년 연말정산 논란과 메르스 시기에 상대적으로 크게 떨어졌다.

관련기사



올해는 4월 총선 이후 약 6개월간 29~34% 범위를 오르내리다가 9월 추석 즈음부터 점진적으로 떨어졌다. 특히 10월 최순실 국정 개입 의혹이 증폭되면서 4주 연속 직무 긍정률 최저치를 보였다.

한국갤럽은 1988년부터 대통령 직무 평가를 해왔으며 매주 조사는 이명박 대통령 임기 5년 차인 2012년 1월부터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명박 전 대통령의 주간 단위 직무 긍정률 최저치는 2012년 8월 첫째 주 17%였고, 이후 독도 방문과 대일 강경 발언 등에 힘입어 8월 셋째 주 26%까지 반등했다.

과거 한국갤럽의 대통령 직무 긍정률 최고치와 최저치 기록은 모두 김영삼 전 대통령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첫 문민정부에 대한 기대, 금융실명제 실시 등으로 취임 1년차 2, 3분기 직무 긍정률은 83%에 달했지만, IMF 외환 위기를 맞은 5년차 4분기에는 6%로 하락한 바 있다.

한편 이번 조사는 11월 1~3일 휴대전화 RDD 표본 프레임에서 무작위 추출해 전화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조사한 것으로 확인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였으며 응답률은 27%(총 통화 3,737명 중 1,005명 응답 완료)로 전해졌다.

[사진=한국갤럽 제공]

장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