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파리협정 공식발효…오는 7일부터 모로코서 세부규칙 논의 예정

현 비준국 69개국…한국, 지난 3일 국회 통과

주요 외신 회의적 전망 "화석연료 대안 찾기 어려워"

"트럼프 당선시 협정 기초 흔들릴 수 있다" 지적도

전 세계가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한 파리기후변화협정이 4일 정식 발효됐다고 유엔 산하 유엔기후변화협약 사무국(UNFCCC)이 발표했다. 파리협정은 당사국들이 지구의 대기온도 상승폭을 2도 아래로 묶어둔다는 목표 아래 온실가스 감축에 동참하고 5년마다 이행상황을 평가하는 것이 골자다. 이번 발효로 오는 7일부터 19일까지 모로코에서 열리는 제22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2)에서는 파리협약의 세부규칙을 정하는 논의가 이뤄질 예정이다.

당초 파리협정은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40%를 차지하는 미국과 중국의 참가 여부가 명확하지 않아 정식발효가 어려울 것이라는 예측이 많았지만 지난달 초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손을 맞잡으며 비준을 마친 덕분에 급물살을 탔다. 이후 인도와 유럽연합(EU)도 비준을 완료하며 발효를 위한 최소요건(55개국 이상 비준, 온실가스 총배출량의 55% 이상)을 충족하는 데 성공했다. 현재 비준국은 69개국이며 우리나라는 지난 3일 국회에서 비준안이 통과됐다.


그러나 공식발효 소식에 장밋빛 전망만 쏟아진 것은 아니다. 뉴욕타임스(NT)는 3일(현지시간) 경제·산업 측면에서 파리협정의 효과를 부정적으로 예상하며 “낮은 목표(2도 이하)를 달성하는 것도 버거울 것”이라고 보도했다. 인도·중국 등 신흥국 국민의 항공이동 증가, 전기자동차 등 친환경연료 자동차의 느린 시장점유율 증가세 등이 얽혀 급증하는 화석연료 소비량을 대체할 방법을 찾기 힘들다는 이유에서다.

관련기사



정치적으로 바라본 파리협정도 불안한 앞날을 예고한다. 8일 미 대선에서 “지구온난화 대비보다 산업촉진이 중요하다”고 공공연하게 주장하는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후보가 대통령으로 당선되면 미중 참가가 주춧돌이 된 이 협정의 기초부터 흔들릴 수 있다. 타임지는 미 국가안보회의(NSC) 에너지·기후변화 문제 담당자인 존 모턴이 “기후변화 문제에서 중국과 파트너십을 유지해나가고 싶다”는 뜻을 밝혔지만 중국과 브라질 등 몇몇 국가들이 이 문제와 관련해 트럼프의 당선을 우려했다고 지적했다.

한편 니혼게이자이신문은 ‘2030년까지 2013년의 온실가스 배출량 대비 26%를 감축한다’는 목표를 위해 같은 기간 각 가정이 감축량 40%를 달성해야 하는 정부 계획이 현실적으로 넘기 어려운 허들이라는 지적을 내놓았다. 일본은 아직 파리협정을 비준하지 않았다.

이수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