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취업자 증가폭 6년만에 최저, 조선업종 실업대란에 여기저기 ‘울상’

취업자 증가폭 6년만에 최저, 조선업종 실업대란에 여기저기 ‘울상’취업자 증가폭 6년만에 최저, 조선업종 실업대란에 여기저기 ‘울상’




조선업종의 실업대란이 현실화하면서 취업자 증가 폭이 6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하락했다.


조선에 이어 전자·IT업종도 고용시장에 찬바람이 불어 우려가 커지고 있다. 다만 저가항공 이용객 급증과 ‘한류’에 힘입은 수출 호조로 항공운송, 식품, 화학 등의 고용은 호조를 나타냈다.

7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10월 노동시장 동향에 따르면 10월 상시근로자 고용보험 피보험자(취업자) 수는 1천265만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29만 2천명(2.4%) 상승했다.

취업자 수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지만, 증가 폭은 2010년 9월(27만 2천명)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하락했다.

취업자 증가율은 업종별로 차이가 있었다.

증가율이 높은 업종들은 서비스업으로 확인됐다. 대표적인 저임금 업종인 숙박·음식업의 증가율이 12.0%에 달했고, 이어 예술·스포츠·여가 관련 서비스업(5.7%),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5.4%) 순.

공공행정·국방은 -1.8%로 감소세를 나타냈으며, 모든 업종 중 임금이 가장 높은 금융보험업의 증가율(0.1%)도 매우 낮은 것으로 알려졌다.

전체 업종 중 고용규모가 가장 큰 제조업은 증가율이 0.2%에 그쳤다. 제조업 취업자 증가 폭은 6천명에 그쳐 8월(9천명), 9월(7천명)에 이어 석 달 연속 증가 폭이 1만명을 밑도는 수준을 보였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10월(-7천700명) 이후 7년 만에 최저 수준의 취업자 증가 폭인 셈.

고용 악화를 주도한 것은 구조조정 태풍이 몰아치는 조선업으로 확인됐다.

선박, 철도, 항공장비 등을 제조하는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은 지난해 말까지 고용이 증가했다. 그러나 선박 수주 급감 등 경기 악화로 올해 들어 감소세를 보였다.

더구나 6월 1만 2천명이었던 작년 동기 대비 취업자 감소 폭은 8월 2만 2천명, 9월 2만 4천명, 10월 2만 5천명으로 3분기 이후 크게 늘어 ‘실업대란’이 현실화됐다.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의 지난해 말 고용규모는 21만명에 달했으나, 올해 9월에는 18만 3천명까지 줄어 고용규모가 10% 이상으로 떨어졌다.


제조업 고용의 14.5%를 차지해 고용규모가 가장 큰 ‘전자부품·컴퓨터·통신장비’도 10월 취업자 수가 1만 5천명이나 줄었다. 2013년 9월 고용규모가 57만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계속 줄어 올해 9월 고용규모는 51만 8천명에 해당했다.

관련기사



이는 중국과의 가격 경쟁을 견디다 못해 국내 전자업체들이 휴대전화, LCD 등 생산기지를 해외로 속속 이전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철강 등 ‘1차 금속산업’은 중국의 저가 철강재 수출 등으로 2013년 하반기부터 고용이 크게 줄다가 지난해 중반 이후 안정되는 양상을 보였다. 다만 고용 감소세는 이어져 10월에도 고용규모가 2천300명 떨어졌다.

다만 1인 가구 증가로 간편식 매출이 늘어난데다, 한류 영향으로 수출도 호조를 보이는 식료품제조업의 취업자 수는 1만 2천명 늘어 25만 4천명에 해당했다.

중국 내에서 한국 제품이 큰 인기를 끌면서 수출이 폭발적으로 늘고 있는 화장품이 포함된 화학제품제조업도 취업자 수가 1만명 증가했다. 고용규모는 22만 9천명.

해운업 불황으로 수상운송업 취업자는 2013년 초부터 지속해서 감소세를 나타내고 있다. 반면에 저가항공 활성화 등으로 항공운송업 취업자는 증가폭이 커지는 모습을 보였다.

사업장 규모별로는 300인 미만 중소기업 취업자가 921만 6천명으로 25만 4천명(2.8%) 늘었다. 특히, 29인 이하 중소기업에서 21만 8천명 늘어 전체 취업자 증가분의 74.7%에 해당했다.

반면에 구조조정이 한창인 300인 이상 대기업은 343만 4천명으로 3만 8천명(1.1%) 늘어났다.

올해 3분기 고용보험 가입 임금근로자 중 실직으로 구직급여를 신규 신청한 사람은 총 20만 8천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천400명(1.6%) 줄었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 장년층에서 크게 늘었으며, 수급기간 180일 이상 장기근속자 중심으로 늘었다.

구직급여 수급기간은 90일에서 240일까지 6개 구간으로 나누어 졌다. 실직자의 재직 기간이 길고 나이가 많을수록 더 오래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산업별로는 제조업, 도·소매업, 사업서비스업 등의 신규 신청이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지역별로는 경남, 울산, 부산 등 조선업 구조조정의 타격이 큰 지역에서 크게 증가했다.

고용부 관계자는 “조선업 실업자 급증 등으로 제조업 취업자 증가 폭이 계속 떨어지고 있다”며 “다만 저가항공 이용객 증가와 수출 호조 등으로 항공운송, 식품, 화학 등에서 고용이 늘어난 것은 긍정적”이라고 밝혔다.

[사진=고용부]

장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