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주주민주주의, 장기적으로 기업가치 훼손 우려 커”

신장섭 싱가포르국립대 교수, 한경硏 세미나서 주장

“美 전문경영인체제, 주주독재 부작용 야기…양극화 심화”

주주민주주의 등을 골자로 하는 경제민주화 이론이 ‘기업사냥꾼’과 같은 행동주의자만 득세하는 수단이 됐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신장섭 싱가포르 국립대 교수는 한국경제연구원 주최로 7일 전경련회관 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경제민주화 기업지배구조 정책의 쟁점과 과제’ 세미나에 발제자로 나서 “주주 민주주의를 표방하고 있는 과거의 미국 지배구조 모델은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며 “이를 기준으로 삼고 있는 우리나라의 경제민주화론으로 한국 기업집단을 개혁하려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주장했다.


신 교수는 정치 민주주의의 ‘1인 1표’ 개념을 가장 쉽게 원용할 수 있는 경제 분야는 주주 민주주의인데 이를 이상적으로 구현한 형태인 미국의 전문경영인체제는 과거에 성공적이었을지 모르지만 지금은 부작용을 야기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신 교수는 “과거 미국 전문경영인체제가 성공을 거뒀을 때에는 소수주주들의 힘이 미약했었지만 대기업 경영진을 공격하는 첨병으로 ‘기업사냥꾼’이 나서기 시작하면서 이들은 철저하게 사익(私益)을 추구해 왔다”고 말했다. 사회운동가, 노동운동가, 연금행정가 등으로 구성된 다양한 주주행동주의자들이 기업사냥꾼들과 연합전선을 폈고, 점점 거대해 져가는 기관투자자들이 이들에게 힘을 실어주었다는 게 신 교수의 설명이다. 그는 “현재 기관투자자들이 전문경영인들을 완전히 복속시켜 미국의 주주민주주의는 오히려 ‘주주 독재’로 전락하는 등 ‘1%대 99%’라는 양극화 구도를 만들었다”고 비판했다.

신 교수는 이어 2000년대 이후 미국 경영자들과 금융투자자들이 동시에 ‘주주가치 극대화(MSV)’를 적극적으로 추구한 결과 주식시장이 분배악화의 창구로 전락했다고 주장했다. 신 교수에 따르면 지난 2005년부터 2014년까지 10년 간 연평균 3,660억 달러(약 421조원)의 돈이 비(非)금융기업에서 순유출됐다. 그 중 52.5%는 자사주매입, 35.7%는 배당, 나머지 11.8%는 조세회피를 목적으로 유출됐다. 신 교수는 “2000년대 이후 발생한 자금유출은 주로 자사주매입과 배당 때문”이었다며 “이는 잉여현금만이 아닌 미국 기업의 경상이익보다 더 큰 규모였다”고 설명했다.

신 교수는 “현재 미국의 주주행동주의자들은 자신들의 이상이 실패했다는 사실을 인정하기 시작했는데 우리나라 경제민주화론에서 이를 추구하고 있다”며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경제민주화 수단으로 채택했던 수단들이 이상을 달성하는 데에 합목적적인 것인지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그동안 진행돼온 경제민주화 과정에서 실제로 누가 수혜를 입었는지 등을 되돌아 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성행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