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최순실 게이트] 우병우 '비선실세' 알든 모르든 책임론..."崔연루 규명" 野 압박도 작용

우병우 직무유기 수사

'황제수사' 등 검찰불신 증폭에

金총장 수사팀 질책 진화 나서

가족회사 자금 횡령 등 각종 비위 혐의로 고발된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비서관이 검찰에서 15시간가량 조사를 받고  7일 새벽 귀가하기 위해 서초동 서울중앙지검을 나서고 있다. /연합뉴스가족회사 자금 횡령 등 각종 비위 혐의로 고발된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비서관이 검찰에서 15시간가량 조사를 받고 7일 새벽 귀가하기 위해 서초동 서울중앙지검을 나서고 있다. /연합뉴스


검찰이 전격적으로 ‘최순실 게이트’ 수사선상에 우병우(49) 전 청와대 민정수석을 올린 배경에는 그가 맡았던 직무와 연관이 깊다. 대통령 친인척·측근을 관리하는 청와대 민정수석이 ‘비선실세’로 지목된 최순실(60)씨의 전횡을 막지 못했다는 이른바 ‘책임론’이 작용한 것이다. 검찰의 소극적인 수사에 대한 여론이 들끓고 있는데다 우 전 수석의 최순실 게이트 연루 의혹을 수사하라는 야당의 반발이 거세졌다는 점도 전격 수사의 요인으로 꼽힌다.

검찰이 우 전 수석에 대한 수사에 착수한 것은 지난 7월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그를 둘러싼 각종 의혹이 제기되자 검찰은 윤갑근 대구고검장을 수사팀장으로 특별수사팀을 발족했지만 정작 소환 조사는 3개월 만에 이뤄졌다. 그나마도 가족회사 정강의 자금 유용, 의경 아들의 ‘꽃보직’ 변경 특혜 등에 국한됐다.


하지만 우 전 수석과 검찰에 대한 국민들의 불신이 팽배해지자 최순실 게이트와 관련해 우 전 수석을 수사하겠다고 밝혔다. 2015년부터 최근까지 민정수석 자리에 있던 그가 미르·K스포츠재단 설립, 청와대 문건 유출 등 최씨를 둘러싼 각종 의혹을 모르지 않았다는 이유에서다. 사정라인을 총괄했던 그가 ‘비선실세의 국정농단’ 상황을 전혀 모르고 있었든 미리 알고도 묵인했든 직무유기로 볼 수 있다는 얘기다. 게다가 검찰·경찰·국가정보원·국세청·감사원 등 5대 사정기관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점에서 우 전 수석이 최씨와 연관됐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관련기사



대표적인 사례로 롯데그룹이 K스포츠재단에 70억원을 전달했다가 되돌려준 점을 들 수 있다. 롯데 수사 관련 정보를 미리 최씨에게 전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다. 돈을 반환한 시기가 검찰이 압수수색을 시작으로 롯데그룹 경영비리 수사에 착수한 때였다. K스포츠재단이 부영그룹에 기부를 요청했다가 세무조사 무마 청탁이 들어오자 받지 않은 정황도 청와대와 조율이 있었던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는 대목이다.

우 전 수석에 대해 ‘저자세 수사’나 ‘황제 소환’이라는 뒷말이 나오고 있는 점도 검찰이 우 전 수석을 수사 대상에 넣을 수밖에 없는 요인으로 꼽힌다. 우 전 수석은 6일 검찰에 출석하는 과정에서 고압적인 태도와 불성실한 답변으로 입방아에 올랐다. 특히 검찰청사 안에서 웃는 얼굴로 팔짱을 낀 채 서 있는 모습의 사진이 공개되면서 검찰에도 여론의 질타가 이어졌다. 이처럼 검찰에 대한 불신이 증폭되자 김수남 검찰총장은 이례적으로 진화에 나섰다. 이날 우 전 수석을 직무유기로 수사하라고 지시하면서 “(우 전 수석) 수사 과정에서 절차상 문제가 있었던 건 아닌지, 국민 눈높이에서 볼 때 어긋나는 부분이 있는 건 아닌지 살펴봐야 한다”고 수사팀을 나무란 것으로 전해졌다.

여기에다 야당을 중심으로 우 전 수석에 대한 수사를 촉구하고 있는 점도 검찰을 압박하는 요인 가운데 하나로 작용했다. 더불어민주당의 조응천 의원 등 8명은 이날 서초동 서울중앙지검 앞에서 우 전 수석에 대한 수사를 촉구하는 의원 1인 릴레이 천막 농성을 시작했다. 우 전 수석이 최씨와 ‘문고리 3인방’의 국정농단을 말렸어야 하는 지위에서 과실을 공유한 만큼 검찰이 우 전 수석의 청와대 PC를 분석하고 업무·개인 휴대폰의 통화내역을 확인해야 한다는 게 의원들의 주장이다.

안현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