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 10년 간 상승률, 소비자물가 3배

서울시 10월 월간 부동산 시장 동향 보고

10년 전세 평균 상승률 79.8%,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27.2%

강남권·도심 접근성 우수한 성동구 103.1%로 가장 높아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이 지난 10년간 소비자 물가상승률의 3배 만큼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8일 서울시의 10월 월간 부동산 시장 동향보고에 따르면 2006년 10월 이래 10년간 서울 아파트 전세 가격 평균 상승률은 79.8%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시의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27.2%다.


자치구별 아파트 전세가격 평균 상승률은 성동구가 103.1%로 가장 상승폭이 높았다. 강남권 및 도심권 접근성이 우수한 위치 때문으로 분석된다. 그 뒤를 이어 구로구(97.7%), 강서구(97.3%), 영등포구(94.3%), 노원구(93.9%), 강북구(92.6%)도 두 배 가량 오른 걸로 나타났다. 종로구(53.5%), 은평구(56.8%), 강남구(61.5%)의 경우 전세가격 상승 폭이 비교적 적은 편이었다.

관련기사



10년간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은 32.3%를 기록했다. 학군 수요가 많고 중소형 아파트 단지들이 밀집해 있는 노원구는 78.3%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고 강북구(68.0%)와 중랑구(53.9%)가 그 뒤를 이었다. 10년 전 부동산 광풍을 주도한 ‘버블세븐’ 지역은 이후 상승률이 높지 않았다. 강남(13.5%), 서초(13.9%)는 10%대였고 송파는 5.3%로 서울에서 가장 낮았다. 목동이 있는 양천구는 7.0%다. 송파구와 양천구는 전세가격 상승률이 65.7%와 73.3%로 매매가격 상승폭에 비해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한편 서울 아파트 전세 평균 가격은 10월 말 기준 3억7,770만원으로 나타났다. 월세 평균은 보증금 1억3,600만원에 월세 89만6,000원이다. 아파트 매매가격은 5억5,930만원으로,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인 전세가율은 71.7%로 집계됐다.

최근 10년간 자치구별 아파트 매매·전세 가격 상승률. /자료 = 서울시최근 10년간 자치구별 아파트 매매·전세 가격 상승률. /자료 = 서울시




박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