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부 최우선 국정운영 전략으로 대변된 ‘창조경제’라는 단어가 불신(不信)의 아이콘으로 전락하고 있다. 박 대통령의 비선실세들이 창조경제 분야에도 개입한 정황이 속속 드러나면서 부패의 그림자가 덧씌워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서울시는 ‘창조’라는 이름을 내걸고 진행했던 각종 사업명과 직책명 변경을 고심하는 등 ‘창조경제’와 거리 두기에 나섰다.
8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경제진흥본부 내 ‘창조경제기획관’ 등의 직책명을 ‘정원 기구에 대한 조례’ 변경을 통해 다른 명칭으로 바꾸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서울시의 한 관계자는 “직책명이 서울시가 추진하는 사업에 걸림돌이 될 정도로 큰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다”라면서도 “(대학가 유흥가를 창업 요람으로 만드는) ‘창조경제 캠퍼스타운’ 사업이나 ‘창조경제기획관’이라는 직책명이 중앙정부의 창조경제와 연결고리가 없음에도 불필요한 오해로 불신을 자초할 수 있는 만큼 명칭 변경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창조경제’란 말은 엄밀히 말해 현 정부가 만들어낸 새로운 단어는 아니다. 영국 경영전략 전문가 존 호킨스가 2001년 7월 펴낸 ‘창조경제(The Creative Economy)’라는 저서에서 처음 사용했다. 호킨스는 창조경제에 대해 “원재료는 사람의 재능”이라며 “새롭고 독창적인 아이디어로 경제적 자본과 상품을 창조하는 끼를 말한다”고 강조했다. 무형의 아이디어를 제조업·서비스업·유통업·문화 등 산업 전반의 유형 자원으로 탈바꿈시키겠다는 취지에서 박근혜정부는 ‘창조경제’를 국정운영 전략으로 앞세웠지만, 알맹이 없는 선전 구호와 전시 행정이라는 비판도 팽배했다. 이 같은 의구심에 비선 실세의 비리까지 더해지면서 ‘창조경제’라는 말은 긍정적 혁신보다 ‘비리 온상’이라는 부정적 이미지로 굳어지고 있는 모양새다.
SNS “최순실 사기” 비판 쏟아져
서울시 ‘창조’ 사업명 변경 고심
‘혁신센터’도 예산 삭감 불가피
실제로 트위터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는 ‘정체가 아리송했던 창조경제란 게 (결국) 최순실 밥벌이(@sra0077)’ ‘창조경제·문화융성이란 단어들이 모두 사기로 연결되는 것 같다(@dolmen85)’ ‘대통령 하나씩 지나갈 때 마다 좋은 단어 한, 두 개씩 의미가 변한다’(@purewind) 등 창조경제에 대한 불신과 성토의 글들이 쏟아지고 있다.
서울시는 이 같은 분위기에 ‘창조경제’라는 단어 사용 자체를 자제하는 분위기지만 진짜 고민은 다른 데 있다. 바로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다. 이곳은 정부 주도의 전국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 중 하나로 서울시와 CJ가 협업을 통해 스타트업·벤처기업과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성장 지원 및 글로벌 진출 기회를 뒷받침해주는 공간이다. 문제는 정치권에서 창조경제 관련 사업의 원점 재검토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만큼 대규모 예산 삭감이 불가피하다는 점이다.
충분하지 못한 재정 상황은 제대로 된 아이디어를 가지고 꿈을 펼치며 차근차근 길을 밟아가고 있는 창업자들에게는 덫이 될 수 있다.
서울시 경제진흥본부 관계자는 “확답하기는 이르지만 스타트업 기업의 꿈이 좌초되지 않도록 창업혁신센터 내 성장 가능성이 있는 신생기업의 아이디어는 서울시 자체 사업으로 흡수해 시 예산으로 지원을 이어가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