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코오롱인더스트리 3Q 영업익 전년비 22.8% 감소… 4분기 개선 기대

코오롱인더스트리가 산업자재와 패션부문의 계절적 비수기 영향으로 올 3·4분기 예상보다 부진한 실적을 기록했다. 다만 4·4분기부터는 자동차 및 패션분야가 성수기에 접어드는 만큼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올 3·4분기 매출 1조 373억 원, 영업이익 481억 원을 기록했다고 8일 발표했다. 매출액은 전년동기 대비 9.6% 감소했고 영업이익도 지난해 3·4분기와 비교해 22.8% 줄었다.


산업자재부문은 3·4분기 자동차 소재의 계절적 비수기 진입과 완성차 업체들의 조업일수 감소 영향이 컸다. 하지만 4·4분기에는 전통적인 성수기 효과와 더불어 중국 자동차 소재 법인을 중심으로 실적 개선세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관련기사



패션부문은 비수기 영향을 가장 크게 받았던 사업부문이었지만 액세서리 및 캐주얼 브랜드들의 꾸준한 성장과 중국법인의 턴어라운드(실적개선) 추세는 3·4분기에도 유지됐다. 특히 중국에 진출한 코오롱스포츠의 인지도 및 매출 성장이 이어지고 있으며, 3·4분기까지 전년대비 30% 이상의 매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4·4분기는 동계의류의 본격적 판매로 인해 실적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예상돼 회사 전체의 실적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세계 최초로 투명폴리이미드(CPI) 필름 투자에 들어간 것을 비롯해 에어백 미주/동남아 시장 개척, 스펀본드 증설을 발표하는 등 하반기부터 공격적인 사업 확대 전략을 펼치고 있다. 이 외에도 주력 자동차소재 및 산업자재 등에 대한 지속적인 증설과 투자를 계획하고 있는 만큼 중장기 성장 동력을 꾸준히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

코오롱인더스트리 측은 “올 3·4분기 실적은 산업자재 및 패션부문의 계절적 비수기와 고객사의 조업일수 감소 등으로 인한 영향을 받았지만 이 같은 대외적 영향은 4·4분기 자동차 및 패션이 성수기로 들어서면서 개선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현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