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스타 영화

[현장] '커튼콜' 박철민, 이 남자의 유쾌함을 어찌 말릴까

역시 박철민이다. 예고편부터 거침없이 빵빵 터트리더니 제작보고회를 입담 하나로 휩쓸었다. 진짜 3류 에로영화 제작자라고 해도 ‘믿지아니, 아니믿을 수 없을법한’ 언변으로 영화의 유쾌한 매력을 쏙쏙 짚어냈다.

11월 8일(화) 오전 서울 압구정CGV에서 영화 ‘커튼콜’의 제작보고회가 진행됐다. 류훈 감독과 배우 장현성, 박철민, 전무송, 유지수, 이이경, 채서진, 고보결이 참석해 작품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다.


‘커튼콜’은 경제 불황으로 문 닫을 위기에 놓인 삼류 에로극단 연출자 ‘민기’(장현성)와 제작자 ‘철구’(박철민)가 늘 꿈에 그리던 연극 ‘햄릿’을 무대에 올리기로 결심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담은 작품. 우여곡절 끝에 막은 올렸지만 예기치 않은 실수와 애드리브가 난무하며 공연의 열기는 점점 뜨겁게 달아오른다.

/8일 오전 압구정 CGV에서 영화 ‘커튼콜’ 제작보고회가 열렸다. /사진=지수진 기자/8일 오전 압구정 CGV에서 영화 ‘커튼콜’ 제작보고회가 열렸다. /사진=지수진 기자


이날 간담회 현장에서도 박철민 특유의 유쾌함은 연신 빛을 발했다. “1년 전에 모든걸 다 제쳐두고 집중해 밀도 있게 찍었다. 신나는 영화가 나와 자신도 있고, 장현성과 닥치는 대로 인터뷰를 다 해서라도 최선을 다해 홍보하자는 생각”이라며 “최순실 악역의 큰 영화가 있다 보니 기자들이 모두 그쪽으로 간 것 같다. 우리 영화의 매력을 나눴으면 좋겠다”고 말해 초반부터 분위기를 끌어올렸다.


작품은 3류극단이 연극 ‘햄릿’을 무대에 올리는 과정을 보여줘야 하는 만큼 배우들이 모여 2~3주 가량 실제 연극 연습하듯 합을 맞추고 촬영에 돌입했다. 그는 “영화는 두세번 리딩하고 촬영에 들어간다. 완벽하게 자기 연기를 숙지하고 현장에서 호흡을 맞추는데 반해 ‘커튼콜’은 3주 가까이 연극을 준비하듯 작업했던 과정들이 가장 중요했다”며 “이 부분을 작품에서 느끼신다면 행복해질 것 같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제작비 규모가 크지 않은만큼 배고픔에 따른 에피소드도 독특했다. 박철민은 “15회차 촬영 모두 도시락을 먹었다. 경제적 형편상. 매번 모두 같이 먹게됐다”며 “밥을 먹으며 항상 이전에 찍은 신, 나중 신을 배우, 스태프가 함께 논의했던 과정이 깊어진 하모니로 발휘됐다고 생각한다. 못난 배우들의 처절한 이야기가 깊은 질문을 하게 되는 영화이니 만큼 많은 사랑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8일 오전 압구정 CGV에서 열린 영화 ‘커튼콜’ 제작보고회에서 배우 박철민(좌) 류훈 감독(가운데), 배우 장현성(우)이 포토타임을 갖고있다. / 사진=지수진 기자/8일 오전 압구정 CGV에서 열린 영화 ‘커튼콜’ 제작보고회에서 배우 박철민(좌) 류훈 감독(가운데), 배우 장현성(우)이 포토타임을 갖고있다. / 사진=지수진 기자


분위기가 가라앉을 때마다 마이크를 잡은 그의 입심은 여지없이 긴장을 깨트렸다. 박철민은 “에로연극을 하는 극단 이야기를 하는데도 여배우들이 아주 꽁꽁 싸매고 와서 대기실에서 화를 냈다”며 “우리는 에로 연극을 했던 루저 극단이니만큼 좀더 노출이 많아야 한다, 베드신도 적극적으로 해야 한다고 요구했는데 감독이 절제해 아쉬웠다. 다만 내 뜨거운 노력과 열정으로 상징적인 몇 장면을 만들기는 했다”고 말했다.

이에 류훈 감독이 “15세 관람가에 맞춰야 했다”고 항변하자 그는 “전체적으로 15.6세 관람가다. 조금 더 집중해 보면 18.7세도 있다. 유홍준 작가의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에서 ‘아는만큼 보인다’고 했듯이 우리 작품도 아는만큼 보인다”고 받아쳐 웃음을 자아냈다.

한편 삼류 에로극단이 도전한 ‘햄릿’이 무사히 커튼콜을 맞을 수 있을지 기대를 모으는 영화 ‘커튼콜’은 12월 8일 개봉한다.

최상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