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전경련 회장단, 환골탈태 방안 마련 빠를수록 좋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10일 비공개로 열기로 했던 회장단회의를 돌연 취소했다는 소식이다. 아직 취소 이유가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최순실 게이트’와 관련해 재계에 대한 검찰 수사가 본격화하고 있는 점이 부담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번 회의 취소로 전경련 개혁방안에 대한 논의도 일정 기간 미뤄질 수밖에 없게 됐다. 하지만 전경련은 이미 창립 이후 최대 위기에 직면해 있다. 정치권 등 각계의 해체 요구가 거셀 뿐만 아니라 재계 내부에서조차 무용론이 제기될 정도다. 회장단이 전경련 개혁안에 뜻을 모으고 이번 사태에 대해 어떤 입장을 내놓을지 주목됐던 이유다.


전경련은 지금 안팎으로부터 존재 이유 자체를 의심받고 있다. ‘정경유착의 통로’ ‘정권의 모금창구’라는 국민의 비판은 물론이고 회원사 등 기업들로부터도 재계의 목소리를 대변하지 못한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오히려 정부 입장을 재계에 일방적으로 통보하는 단체로 전락했다는 것이다. 더구나 미르와 K스포츠재단에 자금을 출연한 기업들이 줄줄이 소환조사를 받을 처지인데도 재계를 대표하는 전경련은 책임 있는 입장조차 내놓지 못하는 형편이다.

관련기사



이러니 전경련의 위상이 날로 떨어지며 내부에서조차 개혁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주요 그룹 회장들이 전경련 회장 자리를 고사하는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허창수 현 회장도 2011년 취임 이후 이미 두 차례나 연임했다. 내년 2월로 임기를 마치면 후임 회장이 제대로 선정될지도 미지수다.

물론 전경련 회장단이 회의를 취소할 수밖에 없는 고충은 이해한다. 그렇더라도 재출범하는 자세로 전향적인 개혁이 필요하다는 요구를 무한정 외면할 수는 없는 일이다. 오히려 전경련 해체론에 무게감을 더하는 결과가 초래될 수도 있다. 여론도 악화하는 추세다. 어떻게든 하루라도 빨리 환골탈태하는 개혁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최선의 해법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