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은 지금 안팎으로부터 존재 이유 자체를 의심받고 있다. ‘정경유착의 통로’ ‘정권의 모금창구’라는 국민의 비판은 물론이고 회원사 등 기업들로부터도 재계의 목소리를 대변하지 못한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오히려 정부 입장을 재계에 일방적으로 통보하는 단체로 전락했다는 것이다. 더구나 미르와 K스포츠재단에 자금을 출연한 기업들이 줄줄이 소환조사를 받을 처지인데도 재계를 대표하는 전경련은 책임 있는 입장조차 내놓지 못하는 형편이다.
이러니 전경련의 위상이 날로 떨어지며 내부에서조차 개혁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주요 그룹 회장들이 전경련 회장 자리를 고사하는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허창수 현 회장도 2011년 취임 이후 이미 두 차례나 연임했다. 내년 2월로 임기를 마치면 후임 회장이 제대로 선정될지도 미지수다.
물론 전경련 회장단이 회의를 취소할 수밖에 없는 고충은 이해한다. 그렇더라도 재출범하는 자세로 전향적인 개혁이 필요하다는 요구를 무한정 외면할 수는 없는 일이다. 오히려 전경련 해체론에 무게감을 더하는 결과가 초래될 수도 있다. 여론도 악화하는 추세다. 어떻게든 하루라도 빨리 환골탈태하는 개혁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최선의 해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