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칠하고 또 칠하고...시간의 흔적 담다

옻칠 공예가 허명욱 개인전

12월4일까지 갤러리 아라이오서울서

허명욱은 옻칠로 만든 그릇의 처음 사진(가운데)을 찍은 다음 무작위로 나눠주고 6개월간 사용하게 해 손때묻은 시간의 흔적을 잡아냈다. 오른쪽은 시간이 지나 더 선명한 채도를 드러낸 헌 그릇 설치작품이고 왼쪽은 햇빛과 풍화의 시간이 축적된 작품이다. /사진제공=갤러리 아라리오 서울허명욱은 옻칠로 만든 그릇의 처음 사진(가운데)을 찍은 다음 무작위로 나눠주고 6개월간 사용하게 해 손때묻은 시간의 흔적을 잡아냈다. 오른쪽은 시간이 지나 더 선명한 채도를 드러낸 헌 그릇 설치작품이고 왼쪽은 햇빛과 풍화의 시간이 축적된 작품이다. /사진제공=갤러리 아라리오 서울


사진작가 겸 옻칠 공예가 허명욱(50)은 물푸레나무에 수십 번 옻칠을 먹여 187개의 함(函)을 만들었다. 전부 모아놓고 완성 기념사진(?)만 찍은 다음 일주일 동안 만나는 사람들에게 무작위로 이를 나눠줬다. 나이·성별·직업 불문하고 건네면서도 정작 함의 용도는 말하지 않았고 “6개월이 지나면 돌려달라”고 만 했다.

그렇게 되돌아온 함은 11줄로 17개씩 쌓여 ‘시간을 담은 노란통’이라는 설치작품이 됐다. 보석함·과자그릇·화분·붓통 등 사람마다 쓰임도 제각각이었다고 한다. 똑같이 주어지지만 누구도 동일하게 사용하지 않는, 시간의 의미를 이야기한다. 맞은 편에도 같은 구조의 설치작품이 놓였다. 노란 통이 사용하던 헌 것이라면 이쪽은 새것이다. 다만 용인의 작업실 정원에 놓여 햇빛을 쬐고 바람을 맞은 그릇들이다. 앞의 것이 사람의 손때 묻은 흔적들이라면 흰색·녹색·빨간색 함으로 이뤄진 설치작품은 자연의 손때로 빚은 작품이다.

옻칠과 금박을 나란히 배치한 허명욱의 ‘무제’ /사진제공=갤러리 아라리오 서울옻칠과 금박을 나란히 배치한 허명욱의 ‘무제’ /사진제공=갤러리 아라리오 서울


옻칠을 활용해 회화·설치·가구디자인 등 다양한 장르를 넘나드는 허명욱의 개인전 ‘칠(漆)하다’가 다음 달 4일까지 서울 종로구 북촌로 갤러리 아라리오서울에서 열리고 있다.


그는 시간의 흔적을 기록한다. 시간이 지나도 변치 않는, 오히려 시간이 지날수록 제 색을 분명히 드러내는 재료를 찾아낸 것이 바로 옻이다. 2008년부터 본격적으로 옻칠 작업에 천착했다. 옻 추출액에 안료를 섞어 칠하고 또 칠하기를 30~40번은 기본이고 80번 이상 반복한다. 눈에 보이는 색 아래에 수십 겹의 다른 색들이 숨어있는 셈이다. 얇게 편 순금박을 붙여 만든 평면작품과 옻칠 가구 등 탐나는 작품 15점이 선보였다. (02)541-5701

관련기사



조상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