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농식품부, 구제역·AI 감염 가축 소각해 퇴비 활용한다

“가축 매몰보다 환경오염 훨씬 적어”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구제역이나 조류인플루엔자(AI)에 걸린 가축을 매몰하는 대신 소각해 퇴비로 활용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9일 오전 정부세종청사 상황실에서 열린 ‘구제역·AI 방역대책 추진상황 점검회의’에서 “가축을 매몰할 경우 2~3년 후 또다시 재처리해야 하는 비용이 발생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대안을 생각해봐야 한다”며 “앞으로는 구제역과 AI에 감염된 가축을 소각해 처분하는 방식을 병행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과거에는 한 번에 감염 가축이 대량으로 발생해 소각이 현실적으로 어려웠지만, 백신 접종 등으로 구제역과 AI에 걸리는 가축의 수가 현저하게 줄어 소각해 처리하는 방법이 환경적으로도 덜 해롭다는 설명이다.

이에 따라 농식품부는 우선 국비와 지방비 4억 원가량을 투입해 내년 ‘살처분 가축 이동식 열처리 장비’ 2대를 건조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해당 장비는 구제역 및 AI가 발생한 현장으로 이동해 감염된 가축을 섭씨 170도 이상에서 8시간 이상 태운 뒤 사체를 분쇄·건조한다. 소와 돼지는 한 번에 10~20마리씩, 닭과 오리는 2,000마리가량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다.

관련기사



가동 후 발생하는 잔재물은 농가 퇴비업체를 거쳐 재활용되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가축 매몰지에서 흘러나오는 침출수가 상수원과 지하수, 토양 등을 오염시키는 등의 환경 피해를 최소화하고 가축 매몰지도 점차 줄여나갈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한편 이날 회의에서 농식품부는 구제역 발생 위험시기인 내년 5월까지를 특별방역기간으로 설정하고 언제든 구제역이 발생할 수 있다는 가정하에 사전 방역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과거 발생 지역을 중심으로 백신 접종 및 일제 검사를 시행하고, 구제역 감염항체(NSP)가 검출된 농장은 집중적으로 관리하기로 했다. 또 가상훈련을 통해 초동대응능력도 높인다는 계획이다.

장기적으로는 정기적으로 백신 접종을 점검하고 수입산에 의존하고 있는 백신 개발 원천기술을 확보하는 등 상시 방역체계를 구축할 방침이다.

/세종=박홍용기자 prodigy@sedaily.com

박홍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