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68년 만의 슈퍼문’ 날씨 흐려 관측 힘들다고?? ‘18년을 더 기다려야 해’ 아쉬워라

‘68년 만의 슈퍼문’ 날씨 흐려 관측 힘들다고?? ‘18년을 더 기다려야 해’ 아쉬워라‘68년 만의 슈퍼문’ 날씨 흐려 관측 힘들다고?? ‘18년을 더 기다려야 해’ 아쉬워라




오늘 저녁(14일) 올해 가장 큰 보름달인 슈퍼문이 뜰 예정이다.


이 보름달은 올해 가장 작았던 보름달(4월 22일)보다 14% 더 크게 보인다고 한국천문연구원은 밝혔다.

보름달이 더 크게 보이는 원리는 달이 가장 둥글어지는 망인 동시에 지구에 가장 가깝게 접근하는 이유이다.

지구와 달이 가장 가까워지는 시각은 오후 8시 21분께로, 동쪽 하늘 고도 32도 부근에서 확인할 수 있다.

오후 8시 21분쯤 달과 지구의 거리는 35만6천509km로, 달과 지구의 평균거리인 38만4천400km보다 가까워진다.


오늘보다 달이 더 가까웠던 날은 68년 전인 1948년 1월 26일이었으며 이보다 더 지구와 가까워진 달은 18년 후인 2034년 11월 26일에 다시 확인할 수 있다.

관련기사



이에 천문연 관계자는 “달과 지구의 물리적인 거리가 조금 더 가까워지긴 하지만, 달이 크게 보이는 데에는 대기의 상태 등도 작용하기 때문에 육안으로는 차이를 못 느낄 수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68년 만의 슈퍼문이 흐린 날씨 탓에 관측이 쉽지 않을것으로 보인다.

현재 기상청에 따르면 전국이 대체로 흐린 가운데 전남과 경남, 제주도는 비가 오다가 오후에 차차 그칠 것으로 전해진다.

날씨가 흐려 68년 만의 슈퍼문을 보지 못하면 2034년인 18년 후까지 기다려야 하기에 많은 이들이 아쉬워하고 있다.

한편, 이날 달이 뜨는 시각은 서울 기준으로 오후 5시 29분이며, 지는 시각은 15일 오전 6시 16분으로 예상된다.

[사진=SBS 뉴스화면 캡처]

박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