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트럼프발 보호무역주의··민관 합동 ‘대미 통상 실무작업반’ 출범

우태희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우태희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




정부가 미국의 새 정부 출범 이후 대미 통상현안 대응을 강화해 나가기 위해 ‘대미 통상실무작업반’ 회의를 개최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4일 서울 플라자호텔에서 우태희 2차관 주재로 대미 통상실무작업반 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

이날 우 차관은 미국 새 정부 출범 이후 통상환경의 불확실성에 대비해 민관공동 대응체계를 한층 강화해 선제 대응해 나가야 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그러면서 “대미 통상실무작업반을 통해 수입규제 등 대미 수출 애로와 현안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해 우리 업계의 대응 방향을 제시할 것”이라며 “미국 행정부, 의회 등에 대한 아웃리치 활동을 확대하는 한편 당선인의 관심 사업과 주요 신산업 분야에서의 양국 간 협력기회를 적극 발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정철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본부장은 새 정부 출범 이후 산업별 보호무역조치 증가, 중국에 대한 환율 논란 등이 우리에게 전이될 가능성 등에 대한 사전 대비책 마련을 제안했다.

김극수 무역협회 무역연구원장은 주요 품목별로 우려와 기대가 교차하고 있으며 기회 요인을 활용키 위한 적극적 아웃리치와 및 첨단산업 분야 협력 강화 필요성을 강조했다.

철강업계는 수입규제 확대 우려가 교차하며 자동차는 관세부과 및 환율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반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자의 공약대로 미국이 에너지 인프라 투자를 확대할 경우 철강 수요가 증가하는 한편 법인세 인하 등으로 내수가 진작되면 수출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김 원장은 밝혔다.

KDI·KIET, 삼성·현대경제연구원 등 민·관 연구기관들은 직접적인 대미 수출 외에 미국과의 통상마찰이 예상되는 중국·멕시코 등을 경유하는 우리 제품 수출에 대한 영향을 우려했다.

/세종=박홍용기자 prodigy@sedaily.com

박홍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