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피플

힐 전 美 동아태차관보 "어떤 美 대통령도 北 핵무기 보유 허용 않을 것"

한반도 국제포럼서 北에 경고

크리스토퍼 힐(오른쪽) 전 미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담당 차관보가 14일 오전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열린 2016 한반도 국제 포럼에서 기조연설을 마친 홍용표 통일부 장관과 악수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크리스토퍼 힐(오른쪽) 전 미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담당 차관보가 14일 오전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열린 2016 한반도 국제 포럼에서 기조연설을 마친 홍용표 통일부 장관과 악수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어떤 미국 대통령도 북한이 절대로 핵무기를 보유하도록 허용하지 않을 것입니다.”

크리스토퍼 힐 전 미국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는 14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린 ‘2016 한반도 국제 포럼’에서 “미 대통령 당선자인 도널드 트럼프가 북한에 협상의 문을 열어둘 수는 있지만 북한이 핵탄두를 탄도미사일에 탑재할 능력을 갖추게 되면 그 시점부터 훨씬 강경한 반응을 보일 것”이라며 이같이 주장했다. 그는 트럼프 후보의 대통령 당선으로 미국의 대북 정책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만약 북한이 핵무기를 만든다면 엄청난 결과를 맞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류길재 전 통일부 장관은 ‘동북아 평화와 한반도 통일을 위한 국제적 환경’을 주제로 한 발표에서 “전면적 대북 압박은 불가피하다”며 “북한 체제가 협상을 거부하고 핵무장의 길로 질주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류 전 장관은 “중장기적으로 ‘대북 관여’ 옵션을 배제해서는 안 될 것”이라며 “결국 지금의 대북 제재와 압박의 효과는 대북 관여와 확산 전략이 병행될 때 비로소 확인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개릿 에번스 전 호주 외교장관은 “미국이 ‘전략적 인내’ 정책 노선을 따르고 있는 와중에도 사태는 진행되고 있기에 협상의 장이 주어져야 한다”며 “비핵화는 오직 수년간에 걸친 협상을 통한 광범위한 평화 협상의 문맥에서만 성취될 수 있을 것 같고 새로운 협상을 시작하기 위한 유일한 기회는 어느 쪽에서도 전제조건을 설정하지 않는 것”이라고 조언했다.

롼쭝쩌 중국 국제문제연구소 부소장도 “한반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면적 접근이 필요하다”며 “제재와 군사적 압박에 대한 맹목적 신뢰는 한반도의 미래에 대해 무책임하다”고 주장했다.

올해 일곱 번째로 열린 한반도 국제 포럼은 주요국의 전현직 관료와 민간 전문가들이 한반도 통일과 북핵 문제의 해법을 논의하는 자리다.

류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