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내년부터 대전택시 표시등에 상업광고 허용

행자부 '디지털광고 시범사업 고시안 변경' 추진

내년부터 2018년 6월까지 대전지역 시범 운영

이르면 내년 초부터 대전에서 ‘택시 표시등’에 상업용 광고를 단 택시를 볼 수 있게 된다.

행정자치부는 택시업계 종사자를 지원하고 신매체 옥외광고 산업 진흥을 지원하기 위해 대중 교통수단인 택시의 표시등을 활용한 ‘디지털 광고 시범사업 고시안 변경’을 추진한다고 15일 밝혔다. 정부는 우선 시범사업 지역인 대전광역시에서 내년 초부터 2018년 6월말까지 시범 운영하고, 평가 및 보완 등을 거쳐 사업규모를 결정할 계획이다.

당초 행정자치부가 추진한 택시표시등 디지털 광고 시범운영사업 고시에 따르면 택시표시등 디지털 사용광고는 표준모델에서 정한 기준에 따른 시범사업만을 허용했다. 당시 기준은 △규격(L85cm×H35cm×W30cm이내) △재질(주요 골격 알루미늄) △부착방식(택시상판 볼트 체결) 등이다.

유럽의 택시 광고유럽의 택시 광고




미국의 택시 광고미국의 택시 광고



그러나, 규제완화를 통한 광고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행정자치부는 택시업계, 중소기업, 교통안전공단, 빛 공해 연구기관 등의 의견을 수렴하여 시범운영 사업에 대한 변경 고시를 추진했다. 이에 따라 △규격(L110cm×H46cm×W30cm 이내) △재질(알루미늄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부착(택시상판 볼트 체결 또는 안전용 캐리어 방식 선택) △화면 지속·전환시간(화면 지속시간 최소 1분 이상 화면 전환시간 최대 2초 이하) 등 설치기준이 보다 완화·세분화됐다.

관련기사



다만, 택시표시등 디지털 사용광고가 교통안전과 도시경관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주·야간 시간대 디지털 광고물의 휘도 기준을 강화하고 교통안전공단의 안전도검사 승인과 디자인심의를 사전에 거치도록 했다. 해외의 경우는 미국(뉴욕 500대, 라스베가스 500대), 영국(런던 700대), 중국(상하이·홍콩), 싱가포르 등에서 택시표시등을 활용한 디지털 광고 사업이 진행 중에 있다.

심덕섭 행정자치부 지방행정실장은 “어려운 경제여건이지만 신매체 옥외광고 산업에 대한 규제완화로 일자리 창출과 관련 업계 종사자에 대한 활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영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