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문재인 "결단 대신 탄핵 길 간다면 나쁜 대통령"

“朴 대통령 ‘조건없는 퇴진’ 할 때까지 전국적 퇴진운동”

"시민사회 참여 비상기구 설치...국정 로드맵 함께 구상" 주장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5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대국민 기자회견을 열고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5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대국민 기자회견을 열고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15일 “박근혜 대통령이 조건 없는 퇴진을 선언할 때까지 국민과 함께 전국적인 퇴진운동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그는 퇴진운동 방식으로 야권과 시민사회가 동참하는 비상기구를 설치해 여기에서 향후 국정 로드맵까지 제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만 탄핵 주장에는 “박 대통령의 위법행위가 더 분명하게 확인될 필요가 있다”며 선을 그었다.

문 전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대국민 기자회견을 열고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불리는 헌법 유린, 국정농단, 권력형 비리 사건을 접하며 참담한 부끄러움과 깊은 분노를 느꼈지만 최대한 인내해왔다”면서 “분명하고 단호한 입장표명을 요구하는 일부의 비판까지 감수한 건 오로지 국정혼란을 최소화하려는 충정 때문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박 대통령은 이런 저와 우리 당의 충정을 끝내 외면했다”며 “이번 사건을 계기로 대한민국은 과거와 결별하고 국가를 대개조하는 명예혁명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 전 대표는 대통령의 ‘조건 없는 퇴진 선언’을 요구하면서 야권·시민사회가 참여하는 ‘비상기구’ 설치를 제안했다. 그는 “퇴진운동의 전국적인 확산을 논의하고 추진할 비상기구가 필요하다”며 “시민사회와 지역까지 동참해 박 대통령이 하야할 경우 과도내각 등 그 이후의 국정 로드맵을 함께 구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과정에서 현재 박 대통령의 퇴진 서명운동을 주도하고 있는 안철수 전 국민의당 상임공동대표 등 다른 대선주자들과도 협력할 수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다만 문 전 대표는 아직 탄핵을 논의할 단계가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그는 “국민의 압도적인 민심은 즉각적인 퇴진을 요구하고 있는데 탄핵은 많은 시간이 걸린다”면서 “수사를 통해서 박 대통령의 어떤 범죄 사실, 위법행위가 보다 분명하게 확인되는 것도 기다려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신중론을 폈다. 또 “박 대통령에게 애국심이 있다면, 국가와 민족을 걱정한다면 스스로 결단을 내려야 한다”면서도 “하야까지도 스스로 결단하지 못해서 탄핵 절차까지 밟는다면 그야말로 ‘나쁜 대통령’이 되는 길이라 생각한다”고 꼬집었다.

손금주 국민의당 수석대변인은 논평에서 “문 전 대표의 백만한번째 촛불 참여를 환영한다”고 ‘백만 촛불’이 켜진 뒤에야 결심한 문 전 대표를 비꼬면서도 “늦게나마 퇴진운동 참여를 선언한 문 전 대표의 결단을 존중한다”고 평가했다.

정진석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문 전 대표의 ‘중대선언’에는 경박함이 가득하다”며 “국가 지도자다운 책임감, 대안 제시, 국민통합 어느 것도 찾아볼 수 없었다”고 비판했다. 이어 “문 전 대표는 끊임없이 조건을 걸고 말 바꾸기만 하며 ‘질서 있는 국정 수습’은 걷어차버리고 나라의 혼란만 부추기고 있다”며 “‘백만 촛불’이 ‘문재인 대통령 만들기’를 위한 것이라 착각하면 안 된다”고 꼬집었다.

박효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