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SM 깜짝 등장에...정부 '해운업 재건' 경로 수정 불가피

SM 계열사에 미주노선 합치면

제2 국적선사로 도약 가능성

"업황 부진에 화주 확보 어려워

장밋빛 전망 그칠수도" 우려

'현대상선 원톱' 육성 계획 차질

'알헤시라스터미널' 등 한진 알짜

인수 지원에 총력 다할 듯



SM그룹이 한진해운의 미주·아시아 노선과 미국 서부 롱비치터미널 매각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면서 현대상선을 초대형 원양선사로 키우겠다던 정부의 해운업 재구축 계획의 경로 수정이 불가피해졌다. SM그룹은 기존 계열사인 대한해운과 삼선로직스에 한진해운 인력과 미주 노선 영업망을 합쳐 종합해운선사로 도약하겠다고 밝혔다. 그렇게 되면 현대상선의 뒤를 잇는 원양선사가 하나 더 생기는 셈이다. 그러나 이는 장밋빛 전망일 뿐이라는 전문가들도 적지 않다. 해운업황의 바닥이 아직 확인되지 않은 상황에서 SM그룹이 버텨낼 수 있겠느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대한해운 제2 국적선사 가능할까=SM그룹의 주력 계열사인 대한해운의 매출은 벌크선이 70%, 탱커선(LNG선 포함)이 30% 수준이다. 오는 21일 한진해운 미주·아시아 노선 매입의 본계약을 체결하게 되면 컨테이너선대를 꾸린 종합해운선사가 되는 것이다. 특히 SM그룹은 한진해운의 인력을 그대로 승계할 방침이다. 해운업계의 한 고위관계자는 “사업 부문이 중복되는 현대상선이 가져가게 됐다면 한진해운 인력 중 절반 이상은 고용승계가 어려웠지만 SM이 우선협상대상자가 되면서 해운업의 핵심자산인 인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그러나 우려의 목소리도 크다. 글로벌 해운동맹에 끼지 못한 상황에서 원양 노선 운행이 가능하겠느냐는 것이다. 한종길 성결대 교수는 “다른 거점 없이 부산항과 미국 롱비치항을 오가는 노선에 화물을 어떻게 채울지부터가 관건인데 한진해운에서 넘어오게 되는 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해운업계의 또 다른 관계자는 “선복량이 50만TEU(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개)인 현대상선도 글로벌 해운시장에서는 경량급에 속한다”며 “3만TEU가량 되는 미주 노선과 컨테이너선 6척을 확보한 것에 불과한 만큼 글로벌 해운동맹에 명함을 내밀려면 적어도 10년 이상은 걸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관련기사



◇발등에 불 떨어진 정부=정부는 “한진해운 핵심인력이 국내 해운사에 남는 것”이라며 의미를 부여하면서도 SM그룹의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에 당황한 기색이 역력하다. 정부는 지난달 31일 해운 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을 발표하면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초대형 컨테이너선사를 집중 육성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는 사실상 하나 남은 국적선사인 현대상선의 덩치를 키우고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것으로 선박 신조 지원을 통해 초대형 선박을 확충하고 글로벌해양펀드의 지원으로 해외 터미널과 영업망도 확보하겠다는 게 청사진이었다. 특히 한진해운이 보유한 미국 롱비치터미널을 현대상선이 가져갈 수 있도록 하는 게 핵심이다. 이에 따라 현대상선이 가져올 수 있다는 전제하에 해운업 경쟁력 강화 방안을 마련한 것부터가 안일한 판단이었다는 비판도 나온다.

정부의 한 고위관계자는 “스페인 알헤시라스터미널을 비롯해 아직까지 남아 있는 한진해운 알짜자산들이 있는 만큼 현대상선이 이를 인수할 수 있도록 최대한 지원할 방침”이라며 “아직 본입찰까지 마무리된 것이 아닌 만큼 SM그룹의 행보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조민규·한재영기자 세종=구경우기자 cmk25@sedaily.com

조민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