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피플

"거주국·모국 사이 '경계인'…통일 징검다리 될 것"

조선족·고려인 등 '한핏줄' 모여

동북아평화포럼서 정체성 논의

조선족·고려인·재일동포 등의 해외동포들은 16일 동북아평화연대 주최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2016 동북아 평화 포럼’에서 ‘경계에서 본 안과 밖의 공동체’를 주제로 거주국과 모국에서의 경험을 털어놓았다./사진제공=동북아평화연대조선족·고려인·재일동포 등의 해외동포들은 16일 동북아평화연대 주최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2016 동북아 평화 포럼’에서 ‘경계에서 본 안과 밖의 공동체’를 주제로 거주국과 모국에서의 경험을 털어놓았다./사진제공=동북아평화연대




“중국 조선족은 중국을 조국으로, 모국을 한국으로 삼고 살다 보니 좋게 보면 이중 정체성이고 나쁘게 보면 이도 저도 아닌 셈이에요.”


조선족 출신인 박동찬 청년공동체 세움 대표는 16일 동북아평화연대(이사장 도재영)가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주최한 ‘2016 동북아 평화 포럼’에서 거주국과 모국에서 이방인 취급을 받으며 겪어온 정체성 혼란을 토로했다. 발표자로 나선 조선족·고려인·재일동포·재러동포들은 ‘경계에서 본 안과 밖의 공동체’라는 주제로 거주국과 모국에서의 경험을 털어놓았다.

우즈베키스탄 출신 고려인 4세 영화감독인 박루슬란씨는 “일제강점기에 압제를 피해 연해주로 건너와 1936년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했고 소련 해체 후 다시 이산의 삶을 사는 고려인에게 ‘약속의 땅’은 어디에도 없다”고 호소했다. 그는 고려인 청년의 방황을 그린 영화 ‘하나안’으로 제64회 로카르노 국제영화제 등 각종 영화제에 초청돼 작품성을 인정받은 차세대 영화인이다. 그는 “러시아·독립국가연합(CIS)뿐 아니라 남과 북 어디에도 진정한 뿌리가 없는 고려인이 최종적으로 정착하고 싶은 땅은 통일된 대한민국”이라며 “통일의 징검다리 역할을 경계에 서 있는 재외동포가 할 수 있다”고 역설했다.

조선족·고려인·재일동포 등의 해외동포들은 16일 동북아평화연대 주최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2016 동북아 평화 포럼’에서 ‘경계에서 본 안과 밖의 공동체’를 주제로 거주국과 모국에서의 경험을 털어놓았다./사진제공=동북아평화연대조선족·고려인·재일동포 등의 해외동포들은 16일 동북아평화연대 주최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2016 동북아 평화 포럼’에서 ‘경계에서 본 안과 밖의 공동체’를 주제로 거주국과 모국에서의 경험을 털어놓았다./사진제공=동북아평화연대



재외동포가 처한 역사적 특수성을 인정하지 않고 한국인이냐 아니냐 하며 이분법적 사고로 대하는 모국의 편견이 더 상처가 된다는 주장도 나왔다.

관련기사



탈북자이며 사회적기업 요벨의 대표인 박요셉씨는 “한국에 정착한 3만명의 탈북자는 남북통일 후 북한 주민과의 공생을 대비하는 좋은 프로토타입(본보기)”이라며 “자살률이 높은 탈북자들을 위해 생태순환농업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발표자로 나선 청년들은 대체로 경계인으로 모국과 거주국이 서로 교류하고 소통을 통해 이해를 높이는 역할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러시아를 소개하는 팟캐스트(1인 미디어) 운영자인 이의찬씨는 “경계 너머의 세상을 전해 인식 차를 줄여가는 것이 우리의 역할”이라며 “어느 쪽에도 속하지 못했다는 소외감보다 가교 역할을 할 수 있는 존재라는 자부심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도재영 동북아평화연대 이사장은 청년들의 발표 후에 “중·일·러·북에 거주하는 동포 청년들은 국경과 민족의 경계를 넘나들며 다양한 활동을 벌이고 있어 동북아의 평화 안정과 소통에 중요한 인재”라며 “우리 사회는 이들의 역할을 기대하기에 앞서 각기 다른 정체성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주문했다. /류호기자 rho@sedaily.com

오현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