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력 수출업종인 자동차 산업에 생산과 수출·내수 판매가 트리플 하향세를 보이면서 비상등이 켜졌다. 높은 인건비 부담과 경직된 노사관계로 국내 자동차 산업의 경쟁력이 갈수록 떨어지면서 세계 3대 자동차 수출국과 5대 생산국가 지위마저 위협당하고 있다.
미국의 차기 대통령에 보호무역주의를 내세운 도널드 트럼프가 당선되면서 국내 자동차 업체들은 설상가상의 형국이다. 전문가들은 “한국 자동차 산업이 기로에 섰다”며 “우리 경제에서 차지하는 자동차 산업의 위상을 생각해서라도 연구개발(R&D)과 세제 지원 등 국가적 차원에서 정책적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국내 자동차 산업의 경쟁력 약화를 나타내는 적신호는 4~5년 전부터 들어왔지만 올 들어서는 더욱 악화일로다. 16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에 따르면 지난 2012년 466만대로 사상 최대를 기록한 뒤 지난해까지 450만대선에서 정체되고 있는 국내 자동차 생산량은 올해 400만대를 간신히 넘을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자동차 생산은 파업 등의 영향으로 지난달까지 전년 대비 10%가량 감소했다. 수출대수도 지난달까지 207만대로 전년동기 대비 15%나 줄었다. 자동차 수출은 2012년 317만대를 기록한 후 줄곧 내림세다. 내수판매 역시 개별소비세 인하 연장 등 소비 활성화 정책에도 불구하고 올해 전년 대비 0.2% 느는 데 그쳤다. 내수시장이 사실상 포화상태에 다다랐다는 얘기다.
국내 자동차 산업이 생산과 수출부진·내수정체를 겪으면서 글로벌 위상도 떨어지고 있다. 지난해까지 중국·미국·일본·독일에 이어 세계 5대 생산국이었으나 올 8월 인도에 2만3,374대 차이로 추월당한 데 이어 9월에는 격차가 34만대까지 벌어졌다. 7위인 멕시코와의 격차는 36만대 수준으로 좁혀져 6위마저 위협받고 있다. 멕시코는 이미 8월 자동차 누적 수출대수에서 우리나라를 추월했다. 독일·일본에 이은 세계 3대 자동차 수출국 지위도 위태로워진 것.
이런 상황에서 트럼프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재협상과 미국 내 생산제품에 대한 우대정책을 내걸면서 국내 자동차 업체들의 피해는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공약이 현실화될 경우 국내 생산분은 물론 멕시코 등에서 생산해 미국에 수출하는 제품에 고율의 관세가 부과돼 가격 경쟁력이 크게 떨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자동차 산업의 침체는 단순히 완성차 업체들의 실적악화에 그치지 않고 국가 경제에 큰 타격을 준다는 점에서 우려를 더한다. 2014년 기준으로 자동차 업종의 직간접 고용인원은 177만명으로 전체 고용인원의 6.9%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크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에는 30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해 경제 충격을 완화하는 데 일조했다. 자동차 산업은 제조업 생산액의 12.7%, 부가가치의 12.0%를 창출하는 국가 기간산업이자 총수출의 13.5%(부품산업 포함)를 차지하는 대표 수출산업이다.
김기찬 가톨릭대 경영학과 교수는 “최근 몇년간 정부가 중소기업 어젠다에 매몰되면서 자동차 산업 경쟁력 강화에 다소 소홀했던 것이 사실”이라며 “국내 완성차 업체들이 연구개발(R&D) 투자를 획기적으로 늘리는 동시에 제조업 육성에 팔을 걷어붙인 선진국처럼 우리 정부도 자동차 산업 지원·육성에 적극 나서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