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LNG선박산업 키워 글로벌 환경규제 뚫는다

정부, 공공 LNG선 발주·항만시설 사용료 감면 등 육성방안 마련

글로벌 환경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가 액화천연가스(LNG) 추진 선박 산업을 육성하기로 했다. 관공선 발주와 각종 세제혜택을 통해 우리 항만을 동북아 LNG 허브로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해양수산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16일 열린 제18차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LNG 선박 연관 산업 육성 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계획은 지난달 정부가 발표한 ‘조선·해운업 경쟁력 강화 방안’의 후속조치다.

정부는 글로벌 환경규제를 준수하는 동시에 관련 산업을 육성해 새 시장을 창출하겠다는 복안을 세웠다. 지난달 국제해사기구(IMO) 해양환경보호위원회(MEPC)는 오는 2020년부터 선박 사용 연료의 황 함유량 기준을 현행 3.5%에서 0.5%로 강화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2020년부터 전 세계 모든 바다에 다니는 선박의 연료는 기존 벙커C유보다 대기오염 물질을 덜 배출하는 LNG 등의 연료로 전환해야 한다. 이 때문에 선사들은 규제를 준수하기 위해 LNG 연료를 사용하는 선박 발주를 늘릴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유럽과 미국·싱가포르 등을 중심으로 LNG 추진 선박 도입을 늘리는 추세다. 반면 우리나라는 LNG 추진선이 1척에 불과하다.


정부는 우선 공공기관이 관공 LNG선을 발주하는 형태로 시장을 키울 예정이다. 초기에는 건조비 부담과 인프라 부족으로 발주를 꺼리는 민간을 대신해 공공 발주로 LNG 선박 산업의 발판을 다지기 위해서다. 또 LNG선이 항만시설을 이용하면 사용료 일부를 감면할 예정이다. 싱가포르는 자국에 등록된 LNG 추진선에 대해 5년간 사용료를 면제하고 있다. 국내 건조 선박의 등록·보유와 관련한 세제지원도 검토하기로 했다. 2조8,000억원 규모의 선박 신조 지원 프로그램과 1조원 규모의 에코십 펀드 등 기존 제도도 활용해 민간도 LNG 선박을 도입할 수 있게 지원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핵심 기술 개발과 관련 인프라 구축에도 나선다. ‘LNG 연료 추진 및 벙커링 기술 개발 로드맵’에 따라 외국에 의존하고 있는 LNG 추진선 핵심 기술을 2019년까지 개발하기로 했다. 중장기적으로 부산항과 울산항 등에서 벙커링(연료 주입) 서비스를 제공해 연간 4억5,000만달러의 시장을 창출할 예정이다.

김영석 해수부 장관은 “이번 방안으로 해운업 경쟁력 강화와 조선 산업의 고부가가치화, 새로운 항만 서비스 제공, 대기환경 개선 등 네 마리 토끼를 한번에 잡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세종=구경우기자 bluesquare@sedaily.com

구경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