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 바닥 걷다 보면 근현대사가 보입니다"

근현대사 인권현장 잊지 않도록

38곳에 황동 표지석 설치

시민저항(O) 국가폭력(△)

제도 내 폭력(□) 등 각기 다른 디자인

시민 및 전문가 추천 받아 대상 지역 선정

인권현장 스토리텔링 곁들인

도보 탐방코스 개발해 내년 운영



4·19혁명의 도화선이 된 ‘4·18 선언’이 있었던 서울 성북구 안암동 현장, 호주제와 동성동본 혼인금지제도 폐지에 구심점 역할을 했던 한국가정법률상담소, 6·25전쟁 당시 교량폭파로 수많은 사람이 목숨을 잃은 한강 인도교 폭파 현장….

서울시 길 구석구석을 걸으면서 격변의 근현대사를 짧게나마 훑어보고 되새김질 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겼다.

서울시는 근현대 흐름 속에서 벌어졌던 인권탄압과 이에 맞서 저항했던 인권수호의 역사를 품고 있는 서울시 38곳에 ‘인권현장 표지석’을 설치했다고 17일 밝혔다.


38개 표지석은 각 현장 특성에 따라 시민저항(23개)·국가폭력(8개)·제도 내 폭력(7개) 등 세 개 주제로 나눴다. 원형(○)은 시민저항을, 삼각형(△)은 국가폭력, 사각형(□)은 제도 내 폭력 등으로 각각 달리 디자인했다.

관련기사



각 표지석은 황동 판 위에 서울시 인권 로고, 현장 명칭과 현장을 소개하는 한 두 줄의 짧은 문구를 국문과 영문으로 표기했다.

38개 인권현장 선정은 시민, 전문가, 종교계 등으로부터 110여 곳 추천받아 전문가 자문회의를 거쳐 최종 선정했다. 시기는 동학농민운동이 일어났던 1894년부터 2000년 사이로 잡았다.

인권현장 표지석 설치와 함께 서울시는 인권현장 스토리텔링을 곁들인 7개 도보 탐방코스도 개발했다. 시는 조성작업에 착수, 내년부터 해설사와 함께하는 ‘인권현장 탐방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인권현장 도보 탐방 코스는 외환은행 본점(전 내무부 앞)-옛 사상계 터-서울시립미술관(옛 대법원 터)-4·19혁명기념도서관(옛 이기붕 집터)에 이르는 민주화 4월길, 평화시장-전태일 동상과 다리-전태일재단(또는 평화의집)-한울삶에 이르는 노동 전태일 길, 망원유수지 터-전쟁과 여성 인권박물관-옛 두리반 칼국수집-인권운동사랑방에 이르는 사회연대 시민길 등이 있다.



김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