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라이파이(Li-Fi) 관련 특허출원 활발

접속자가 몰리면 속도가 느려지는 와이파이(Wi-Fi)의 단점을 보완한 라이파이(Li-Fi)관련 특허 출원이 활발해지고 있다.

21일 특허청에 따르면 발광다이오드(LED) 조명에서 나오는 가시광(눈에 보이는 빛)에 데이터를 담아 보내는 근거리 무선 통신인 라이파이 관련 특허 출원이 꾸준히 이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라이파이 관련 특허 출원은 2004년 2건, 2005년 4건, 2006년 11건으로 서서히 증가하다가 2009년 40건, 2010년 67건까지 급증한 뒤 이후 매년 30건 이상 꾸준하게 출원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빛(Light)’과 ‘와이파이(Wi-Fi)’가 합쳐진 용어인 라이파이는 사람의 눈이 인지하지 못할 정도의 빠른 속도로 LED 조명을 켜고 끄는 것을 반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이다.

2015년까지 출원인 비중을 살펴보면 국내 대기업이 37%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고 대학이 25%, 외국기업과 국내 중소기업이 각각 13%와 12%로 뒤를 이었다.


개별 기업으로 보면 삼성전자가 111건으로 1위, 한국전자통신연구원과 국민대학교 산학협력단이 각각 41건과 24건으로 2위와 3위를 차지했다. 외국기업 중에서는 퀄컴이 16건으로 5위를 기록중이다.

관련기사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시장의 성장에 따라 데이터 요구량 급증이 예상되는데 라이파이는 기존 통신기술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한 해법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라이파이는 켜져 있는 LED 조명을 이용하므로 추가 에너지 소비가 적고, 기존 무선통신 주파수 대역보다 1만배 넓은 가시광 대역을 이용하므로 와이파이에 비해 100배 넘는 전송속도를 구현할 수 있다.

최봉묵 통신네트워크심사과장은 “우리나라 정부와 지자체들의 지속적인 노력으로 LED 조명의 보급률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라이파이 실현의 토대가 마련되고 있고 빅데이터 및 사물인터넷 분야에서 대용량의 데이터 통신 방식을 요구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라이파이 기술의 상용화와 성장의 시점이 임박해 온 것으로 보인다”며 “지금이야말로 라이파이 관련 기술에 대한 연구와 이에 따른 특허출원에 깊은 관심과 주의를 기울여야 할 때이다”고 강조했다.

한동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